KOTRA와 국토부는 25일과 27일 헝가리와 체코에서 ‘2025 중부유럽 스마트테크 로드쇼’를 개최했다.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B2B 수출상담회의 모습.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AI·스마트시티·로봇 분야의 ‘K-스마트테크’ 기업들이 중유럽 시장 공략에 나섰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국토교통부는 이달 25일과 27일 헝가리와 체코에서 ‘2025 중부유럽 스마트테크 로드쇼’를 개최해 현지 진출 기회를 마련했다.
국토부 스마트시티 해외 진출 지원사업 일환으로 열린 이번 로드쇼에는 국내기업 13개사가 참가해 ▲스마트테크 포럼 ▲B2B 수출 상담회 ▲한국기업 기술 피칭을 진행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도 협업기관으로 함께해 AI·스마트시티·로봇을 포괄한 폭넓은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
헝가리는 ‘국가 디지털화 전략 2030’, ‘AI 전략’ 정책을 기반으로 공공 인프라 전반에 AI를 접목하는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이다. 민간 및 공공 부문 모두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헝가리 AI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28%의 고성장이 전망된다. 최근에는 수도인 부다페스트를 중심으로 자율주행, 스마트 교통관리, 로봇 물류 시스템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체코는 중·동부 유럽에서 AI 준비도 지수 2위, AI 인재 지수 1위를 차지하는 국가다. 체코 정부는 ‘2030 스마트시티 실행계획’에 따라 체코 4대 도시(프라하, 브르노, 오스트라바, 플젠)를 중심으로 스마트시티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를 위해 지능형 교통시스템, 감시시스템 도입 등 AI 프로젝트와 함께 산업 전반에 걸친 로봇 도입 수요 확대되고 있다.
25일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행사에서는 헝가리 국가경제부, AI 전담국이 현지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및 AI 발전 계획을 소개했다. 상담회에는 글로벌 포장 필름 제조사인 ‘SRF 유럽’, 헝가리 교통·환경 연구기관인 ‘KTI’ 등 유망 바이어 및 기관 25개사가 참가해 사전 정보 교환에 의한 개별 B2B 상담을 진행했다.
27일 프라하 로드쇼에서는 체코 지역개발부, 프라하 도시계획연구원이 현지 AI 프로젝트 및 시장 동향을 발표했다. 이어진 상담회에서는 전기차충전 인프라 기업인 ‘EV 솔루션’ 등 바이어 30개사가 참가해 우리기업과 B2B 상담을 진행했다. 기술 피칭 세션을 통해 한국기업들이 AI·스마트시티·로봇 기술을 현지 바이어들에게 직접 소개하는 기회도 마련됐다.
김명희 KOTRA 부사장 겸 산업혁신성장본부장은 “헝가리와 체코 모두 유럽 AI 혁신 허브를 지향하며 다수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고, 한국에 대한 호감도도 높은 지역”이라며 “이번에 발굴된 스마트테크 협력 수요에 우리기업의 실질적 참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