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계 폭로, 권영세 "집권하면 NLL 대화록 까겠다"
"작년 12월 10일 여의도 모음식점서 나눈 대화…이번에 공개된 전문과 일치"
정치권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공개 및 그 내용(NLL(북방한계선))을 둘러싸고 공방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박범계 민주당 의원이 26일 대선 당시 새누리당 종합상황실장을 지냈던 권영세 주중대사가 집권 시 대화록을 공개할 계획을 이미 갖고 있었다고 폭로했다.
박 의원은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지난해 12월 10일 여의도 모 음식점에서 권 대사가 지인들과 대화한 것”이라며 녹음파일 및 이를 풀어낸 자막을 공개했다.
박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권 대사는 “NLL 갖고 해야 하는데…대화록 있지 않습니까”라며 “자료 구하려는 건 문제가 아닌데 그거는 역풍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말 그대로 ‘컨틴전시 플랜’(Contingency paln 비상계획)이다. 보안이고 뭐고, 깔 때 아니면 못까지”라고 말하고 있다.
권 대사는 이어 “소스가 청와대 아니면 국정원 아닙니까. 대화록 작성하는 게 그래서…”라면서 “봐야지. 들여다 볼 수 있으니까 우리가 집권하게 되면 까고…”라고 돼있다.
박 의원은 이후 “권 대사가 대화하는 지인들에게 구체적으로 3단락에 걸쳐 남북정상회담과 관련된 얘기를 한 것으로 돼있다”며 “이번에 (국정원에서) 공개된 전문과 거의 일치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NLL대화록은 이명박 정부 시절 이미 불법·무단으로 유출돼 ‘정상회담 분석보고서’라는 내용으로 정제됐다”면서 “이명박 전 대통령과 여러 사람들이 기밀자료를 들여다봤으며, 공유했음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임명된 직후, 이 전 대통령에게 대화록 관련 내용을 보고했다는 내용도 나온다”고 언급했다.
박 의원의 주장은 큰 파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사안이지만, 녹음파일의 상태가 좋지 않아 실제 권 대사의 음성인지를 두고는 향후 여야 공방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박 의원의 주장에는 박지원(법사위원) 박영선(법사위원장) 의원도 힘을 실었다.
우선 박지원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당 현안 관련 중진의원 회의에서 권 대사의 육성이 담긴 녹음테이프를 당시 식당에 있던 지인으로부터 확보했다며 “(민주당에) 제보를 해준 것이기 때문에 통신비밀보호법(통비법)에 이견이 없다”고 위법 논란에 선을 그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이외에도 또 다른 제보를 갖고 있어 법사위에서 계속 문제를 제기하겠다고 얘기했다”며 “(권 대사의) ‘집권해서 공개하겠다’는 것은 (현 상황이) 계획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는 얘기”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또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대화록이 칭찬일색이라고 하면 박근혜 대통령은 김정일을 만났을 당시 ‘당신은 주적이다’라면서 싸웠는가”라며 “‘외교적 수사’를 갖고 전체를 호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뒤이어 박영선 의원도 “법사위에 제보된 녹음테이프 외에도 몇 개가 더 있다”면서 “우리는 그동안 박근혜 정권에게 대한민국의 미래와 국가안정을 위해 민주당이 자제하고 있다고 수차례 경고를 했다”고 운을 뗐다.
박 의원은 이어 “박 대통령이 이 문제를 사과하고, 검찰과 경찰, 국정원을 개혁하고 바로 세우는 계기가 되길 진심으로 바랐는데 작금의 ‘국정원 사태’는 제정신으로 할 수가 없는 것”이라고 직격했다.
박 의원은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남재준 국정원장을 즉각 해임하고, 사과를 해야 한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이 사안이 가라앉기가 굉장히 힘든 상황이라고 말씀드린다. 1시간 36분짜리 녹취록에는 여러 가지 이야기들이 나오는데 그것들은 대부분 다 충격적이라 법사위원들이 신중하게 대처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앞서 박범계 의원은 지난 17일 열렸던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권 대사가 국정원 정치·대선 개입 사건의 배후라고 지목한 바 있다. 그러자 권 대사도 바로 “정치권의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사실이 아닌 내용에 일일이 대응하지 않겠다”면서 신경전을 벌였었다.
한편, 이날 황교안 법무부장관은 박범계 의원의 이 같은 의혹제기에 대해 “사건 수사 과정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는지, 관련 자료가 있는지 검찰이 적절하게 판단해 처리할 것”이라고 답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