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2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27일 야당이 누리과정 예산을 문제 삼아 국회 상임위원회 및 예산결산특위 일정을 잠정 중단하기로 한 것과 관련 “국민의 명령인 예산안 처리에 총력을 다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회의 가장 중요한 책무인 예산안 처리는 매년 제때 이뤄지지 않아 연말 사회 분위기에 악영향을 끼쳐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대표는 “올해는 예산안 자동부의제라는 국회선진화법 조항이 처음 실현되는 해”라면서 “특히 내년 예산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따라 경제와 민생살리기에 초점을 맞춘 중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경쟁과 당리당략을 내세울 때가 아니라 민생경제에 집중해야 할 때”라며 “야당이 국회 정상화에 나서주길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이완구 "교문위 예산증액 원내대표가 보장? 내가 무슨 근거로 각서 쓰는가"
이와 관련, 이완구 원내대표도 “이 문제는 예산당국과 예결위에서 심의를 거쳐서 결정하는 것이 절차”라고 지적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틀 전 양당 원내지도부 회동에서 앞으로 구체적인 지원규모를 논의하면서 예산의 틀을 정하자고 입장정리를 했는데 어떤 이유로 야당이 그런 선택을 한 것인지 잘 모르겠다”면서 “(야당의 주장은) 교문위 예산증액만 여당 원내대표가 보장하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쉽게 이야기해서 각서를 쓰라는 것인데 이것은 말이 안 된다”라며 “내가 예산당국과 이 문제를 논의할 수는 있어도 무슨 근거로 각서를 쓰는가”라고 주장했다.
그는 “상임위를 정상 가동해서 더 이상 국민들께 실망을 끼쳐서는 안 되겠다”라며 "교문위의 뜻과 취지는 분명히 알겠으니 우선 예결위에 회부를 하면 예결위와 협의해서 합당한 안을 내놓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