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은 19일 경남도청의 무상급식 중단과 관련해 “홍준표 지사는 업무상 사람들을 만나면서 3만원 이하의 밥을 먹는데, 그것도 본인 호주머니에서 나가는 게 아니고 경남도민들이 낸 세금으로 먹고 있다”며 “도청은 업무 보러 가는 곳이니까 본인 돈 내고 밥 먹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 최고위원은 이날 YTN 라디오에 출연, 홍 지사가 전날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와 면담에서 “학교는 밥 먹으러 가는 곳이 아니다”라고 말한 데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정 최고위원 또 “홍 지사가 지금 두 번째 당선 되셨는데, 처음에는 보궐선거로 됐다. 그런데 그때 취임사에서 이런 말을 한다”며 “‘노인 틀니 사업, 무상급식 사업, 이 복지예산은 삭감되는 일이 없도록 재정건전화 특별대책을 강구해서 추진하겠다’, 그때는 무상급식, 정확히 말하면 의무급식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걸 중단 없이 하겠다는 것을 강하게 말했고, 지난 6.4 지방선거에서도 주민들은 워낙 취임사 때 강하게 이야기했기 때문에 ‘중단되는 일이 없겠구나’ 이렇게 생각하고 찍은 것”이라며 “그러니까 학부모들 입장에서는 아닌 밤중에 홍두께 식으로 뒤통수 맞았다, 이런 식”이라고 비판했다.
정 최고위원은 “이게 4월부터 현실화하면 상당히 심각한 민심의 폭발이 있을 것 같다”며 “주민들은 공공연하게 이야기한다. 1년이 지나야 주민소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올 6월 4일 이후 주민소환 대상감이다. 그렇게 실제로 이야기하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홍 지사도 그 직이 불안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 최고위원은 홍 지사가 주장하고 있는 선별적 무상급식에 대해 “7만명은 원래대로 무상급식을 하고 나머지 21만명은 돈 내라고 하는 것”이라며 “그러면 7만명을 어떻게 선별할지, 이 자체가 가난한 아이로 낙인찍히는 과정이다. 아이들에게 ‘너희들이 가난한 것을 입증하라’고 요구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 최고위원은 이어 “오늘 경상남도의회에서 교육바우처, 맞춤형교육 지원사업, 교육여건 개선사업, 이렇게 통과시키려고 하고 있다”며 “그래서 오늘 일단 경상남도의회에서 통과되는 것은 조금 보류했으면 좋겠다”고 요청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