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공휴일, 국민 절반 쉬어야 1.3조 경제효과"
"영세 기업, 비정규직 노동자 동참 위해 정부 등 배려 필요"
광복절 70주년 및 내수진작을 위해 오는 14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된 가운데 국민 절반이 쉬어야 정부가 추산한 1조 3000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산업연구실 이사는 6일 '8월 14일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 보고서를 통해 1조 3000억의 내수 진작을 위해서는 국민 절반인 2500만명이 동참해야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2500만명이 임시공휴일을 적용받는다고 가정하고 2013년 산업연관표 등을 토대로 4개 항목의 수치를 추산했다.
1일간 전체 소비지출액은 1조 9900억, 생산유발액은 3조 8500억원, 부가가치유발액은 1조 3100억원이며, 취업유발인원은 4만 5700명으로 집계됐다.
이어 1인당 소비지출액은 7만 6900원, 소비지출 구성비는 숙박(23.9%), 교통(28.2%), 식비(34.1%), 오락문화(13.8%) 등으로 추산됐고, 임시공휴일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음식업이 4800억원으로 가장 컸고 숙박업이 3300억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음식, 숙박뿐만 아니라 석탄 및 석유제품(1360억원), 전력, 가스 및 증기(1070억원) 등 타 산업에도 생산유발효과를 내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임시공휴일 지정만으로는 정부가 기대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다”며 “민간의 이해와 협력을 구하고 특히 영세 기업이나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동참을 위해 관련 사업장에 대한 정부, 경제단체, 대기업 등의 배려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주원 이사는 “앞으로도 휴일을 단순히 노는 날에서 새로운 부가가치 생산활동 기간으로 인식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며 “임시공휴일이나 대체휴일제의 효과가 극대화되기 위해선 시행 이전에 가계, 기업 등 민간 주체들이 대비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오는 14일로 예정된 '임시공휴일'에는 관공서와 공공기관, 학교 등이 쉰다. 그러나 법정 공휴일은 아니기 때문에 기업체와 개인사업자 등은 자체적으로 휴무 여부를 정하게 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