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장고에 들어갔다. 특히 김현웅 법무부 장관과 최재경 민정수석의 사표를 받아든지 닷새째 사표 수리나 반려 여부를 결정하지 않고 있어 그 배경을 두고 해석이 분분하다.ⓒ데일리안
박근혜 대통령이 장고에 들어갔다. 김현웅 법무부 장관과 최재경 민정수석의 사표를 받아든지 닷새째 사표 수리나 반려 여부를 결정하지 않고 있어 그 배경을 두고 해석이 분분하다.
전날까지만 해도 청와대 내에선 박 대통령이 사표를 반려할 것이란 시각이 우세했다. 한광옥 비서실장을 중심으로 청와대 참모들이 사표를 반려해야 한다는 뜻을 박 대통령에게 건의하기로 하는 등 움직임에 나섰기 때문이다.
정연국 대변인도 전날 "알려드릴 게 있으면 알려드리겠다"며 박 대통령의 '결심'이 임박했음을 시사했지만 25일엔 "사표 수리 여부는 박 대통령이 결정할 사항으로, 결심하면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결단을 내릴 시기도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얘기다.
검찰 압박용? 꿈쩍 않은 검찰…권력누수에 여론악화 우려만
사정라인 공백이 장기화 될 경우, 결심을 하지 못하는 박 대통령을 향한 여론 악화도 우려된다. 당장 탄핵정국에 몰리는 와중에 정권유지의 핵심축이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는 것 자체가 권력누수의 한 단면이라는 지적이다.
이런 가운데 법조계에서는 박 대통령이 법무장관과 민정수석의 사표를 쥐고 검찰을 압박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구체적으로 "김수남 검찰총장의 사퇴를 압박하는 사표다", "검찰 수사결과 발표에 대한 불만 표시다"는 등의 관측이다.
현재 김 총장이 물러날 뜻이 없다고 못박은 만큼 '검찰 압박용'이라는 해석은 설득력이 낮다. 이에 박 대통령이 당분간 사표를 수리하지 않고 검찰에 일정한 경고 메시지만 보낸 뒤 특검 수사 등을 명분으로 반려하는 수순을 밟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사표 2장 되돌릴 명분 찾기 어려워 '장고'
박 대통령 입장에서는 사표를 반려하는 게 시국을 돌파할 '정공법'이지만, 김 장관과 최 수석의 사퇴 의사가 워낙 강해 반려하기도, 수리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라는 해석도 있다.
김 장관과 최 수석이 강경모드인 청와대와 '통제불능' 검찰 사이에서 갈등하다가 무력감 속에 사퇴를 결심했다는 해석이 나오는 상황에서 같은 자리에 다시 앉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결국 박 대통령이 두 사람의 발길을 돌려 세울 마땅한 명분이 없다는 얘기다.
여기에 청와대가 박 대통령의 장고 배경에 대해 이렇다할 설명을 하지 못하는 것도 또 다른 관측을 낳게 만드는 배경이다. 청와대는 '갈등설'이나 '항명설'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거듭 강조하고 있지만 박 대통령의 장고가 이어지면서 이래저래 억측만 커지고 있다.
여권 한 관계자는 "사표를 쥐고 있는 것은 검찰을 향한 메시지다. 그런데 검찰에서 반응이 없으니 시간이 필요한 것"이라며 "사표를 반려하거나 새로 후임자를 찾거나 타이밍 싸움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김 장관과 최 수석은 사표 제출 후 현재까지 정상적으로 출근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