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 공동경선' 카드 내민 박원순·김부겸 "문재인·안철수 입장 밝히라"
"정권교체 이루려면 결선투표제·후보단일화로는 위험...공동경선이 최선"
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인 박원순 서울시장과 김부겸 의원이 17일 '촛불 공동경선'에 대한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와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의 입장 표명을 촉구했다.
촛불 공동경선은 야3당과 시민사회가 야권 단일 후보를 선출하는 개방형 경선으로, 박근혜 대통령 탄핵 촉구 촛불집회가 열렸던 전국의 광장에 투표소를 설치해 모든 국민에게 투표권이 부여되는 방식이다. 또한 이렇게 선출된 야권 단일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그것이 곧 '촛불 공동정부'라는 것이다.
박 시장과 김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의원 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2012년 대선에서 야권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던 문재인, 안철수 후보는 공동정부와 공동경선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밝히고 △민주당 지도부는 이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고 적극적으로 추진해질 것을 요청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최근 민주당은 당헌당규정강정책위원회를 꾸려 각 후보들의 대리인과 경선 룰을 만드는 작업을 진행 중이며, 이번주 내 룰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기존의 내부 경선 자체에 반대 의사를 밝힌 박 시장은 현재 룰 논의 석상에 참석하지 않고 있다.
특히 지지율 1위를 달리는 문 전 대표를 비롯해 타 후보들과 민주당 지도부가 이러한 제안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 만큼, 사실상 개방형 공동경선이 이번 대선 경선 과정에 실현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은 상태다.
이에 대해 박 시장은 "실무적 룰은 당이 앞장서기보다 각 후보들이 스스로 결정하는 게 먼저다. 그게 잘 안될 경우에야 그때서야 당이 나서는 것"이라며 '공동경선'이라는 큰 틀에서 후보 간 논의가 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가 공동정부 구성에는 동의하면서도 방법론으로는 '결선투표제'를 주장한 것과 관련, 대선 정국에서 '야권의 공동 대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궤를 같이한다는 데 방점을 찍으면서도, 법리적 문제와 시간적 여유를 고려할 때 불가능한 방안이라고 답했다.
김 의원은 "박지원 대표는 우리 정치사의 굴곡을 누구보다 잘 아시는 분이고, 그분의 뜻 자체가 야권이 공동으로 대선을 맞이하며 그 이후에도 공동의 그림을 그려야 한다는 취지를 담으신 것 같다"며 "다만 현행 법 체제 하에서 결선투표제가 가능한지 이견이 있기 때문에 야권이 이 상황을 공동으로 대처하자는 측면으로 읽고싶다"고 말했다.
박 시장도 "결선투표제 자체는 바람직하지만, 현재 조기 대선을 치러야하는 시간표 안에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그렇기 때문에 유일하고 가장 좋은 대안이 야권 공동경선"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공동경선 범위와 관련, 바른정당의 포함 여부에 대해선 "기본적으로 새누리당은 청산대상이라 아무리 이름을 바꾸고 탈당해도 공동정부 경선안에는 들어올 수 없다"며 재차 선을 그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