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대형마트 등 유통업체 이틀에 한 번꼴로 임시휴업
의무휴업일엔 온라인 배송도 금지…소비자 불편 커지고 형평성 문제도
정부의 각종 규제도 모자라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유통업계가 사면초가 위기에 직면했다. 한 달에 두 번 의무휴업에 코로나 확진자 방문으로 인한 임시휴업과 단축영업까지 겹치면서 실제 영업 가능일수가 대폭 줄어든 탓이다. 감염 우려에 집 밖을 나서는 소비자들이 급감한 상황에서 영업일수까지 줄면서 업계에서는 IMF 때보다 상황이 더 심각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달 27일 발표한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통계에 따르면 올 1월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은 지난해와 비교해 4.1% 증가했다. 지난해 1월의 경우 전년 대비 오프라인 유통이 6.5%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증가세가 둔화된 것이다. 올 1월의 경우 지난해에 비해 이른 설 연휴로 선물세트 등의 수요가 포함된 것을 고려하면 실제 증가폭은 더 적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특히 1월 20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감염자가 빠르게 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2월 매출증가율은 오히려 마이너스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코로나 사태 이후 백화점 매출 1위인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의 경우 임시휴업만 3번을 실시했고, 전국 주요 백화점과 대형마트, 면세점, 아울렛 등도 하루가 멀다 하고 임시휴업에 들어갔었다. 업계에서는 2월 손실액이 수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로 인해 1분기에는 주요 유통업체들의 적자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도 나온다.
호텔쪽도 상황이 안 좋기는 마찬가지다. 롯데호텔은 객실 취소 건수만 5만건에 달하고 연회장 예약도 줄줄이 취소되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한국을 찾는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특급호텔의 경우 90% 이상이 빈방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특히 대형마트는 코로나 사태로 인한 임시휴업에 규제에 따른 의무휴업까지 더해지면서 일주일 7일 중 절반도 안 되는 3일만 영업을 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의무휴업으로 하루를 쉬고 임시휴업으로 3일을 쉴 경우 7일 중 4일은 매장 문을 닫아야 하는 셈이다.
코로나 사태 장기화 우려에 가정간편식을 비롯한 가공식품이나 음료, 위생용품 등의 수요가 늘면서 한 때는 대형마트가 선방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지만 반복되는 휴업과 의무휴업으로 수요가 있어도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이 반복되면서 위기론에 다시금 불이 붙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유동인구가 많은 곳을 기피하는 현상이 심화되면서 온라인 주문을 통해 장을 보는 소비자들이 급증하고 있지만 대형마트의 경우 의무휴업일에는 온라인 주문도 받을 수 없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확진자가 많이 발생한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생필품 대란이 벌어져 마트로 달려간 소비자들도 의무휴업에 발길을 돌려야만 했다.
온라인 주문이 급격하게 늘고 있지만 온라인에서도 생필품 품절 사태가 지속되자 바로 구매할 수 있는 대형 유통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일시적이나마 높아진 것이다. 하지만 규제 탓에 대형마트마저 문을 닫으면서 제때 물건을 구입하지 못한 소비자들의 불편은 더욱 커졌다.
이에 대형마트 단체인 체인스토어협회가 산업통상자원부에 코로나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 만이라도 대형마트의 의무휴업일에 온라인 배송 규제를 완화해 달라는 내용의 요청문을 보냈지만 지방자치단체의 반발로 이마저도 무산됐다.
업계에서는 의무휴업일에 대형마트의 온라인 배송도 금지한 것은 온라인 쇼핑과의 형평성도 어긋난다고 주장하고 있다. 가뜩이나 강화되는 규제로 부진을 겪고 있는 상황에 온라인과의 형평성 문제마저 불거지면서 업계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1월엔 설 연휴도 있고 코로나도 초기 상황이라 평년과 비슷했지만 2월부터 휴업이 반복되면서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며 “코로나 여파가 앞으로 6개월 이상 지속될 것이란 전망도 나오는 분위기다. 얼마나 갈지 모르는 상황이라 마땅히 대응책을 준비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