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대출리스크 '총대' 기부행렬 '선봉'…신한금융 행보에 쏠린 눈


입력 2020.05.15 06:00 수정 2020.05.15 15:15        이충재 기자 (cj5128@empal.com)

전세자금대출 중단철회 불구 금융권 "가려운 곳 긁어줬다"

재난지원금 기부에 애매한 입장 보이던 금융권 잇단 동참

서울 중구 신한금융그룹 본사(자료사진) ⓒ데일리안

최근 금융권 이슈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신한금융그룹의 잇단 행보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가계대출 제한 등 민감한 조치에 선제적으로 나서는 한편, 코로나19 관련 대응에서도 '리딩뱅크'로서의 존재감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평가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최근 아파트를 제외한 모든 주택에 대한 일반 전세자금대출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가 여론에 밀려 하루 만에 철회했다.


신한은행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은행권 대출이 폭증하자 선제적으로 나서서 대출조이기에 나섰지만, 여론 악화로 백지화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한은행 측은 "최근 신규 취급액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아파트 외 주택 대상 일부 상품 제한을 통해 가계대출 속도를 조절하고자 했으나 서민 주거 안정에 대한 우려 목소리가 있어 대출 중단 계획을 잠정 보류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금융권에선 "신한의 조치는 옳았다"는 의견이 많다. 실제 신한은행의 경우, 전세자금대출 잔액이 지난해 말에 비해 2조6622억원이 늘어나면서 증가율이 13.7%에 달해 속도조절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다른 시중은행들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전날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신한·국민·하나·우리·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 4월 말 누적 기준 신규 원화대출 잔액은 1189조6815억원으로 지난해 말 보다 49조6264억원 급증했다. 국민은행은 4월 말까지 15조 6460억원 늘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4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이후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던 은행 가계대출 증가세는 4월들어 한풀 꺾였지만, 가계대출 잔액은 4조9000억원 늘어난 915조7000억원으로 '1000조 대출시대'에 한발 다가갔다. 신한은행은 이 같은 위험에 미리 경고음을 울린 셈이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신한은행이 그 많은 대출 가운데 비(非)아파트 전세대출만 콕 집어서 중단하기로 한 것은 세련되지 못했다. 여론이나 당국의 반대를 예상했을 텐데 아쉽다"면서도 "지금 상황에서 신한은행이 대출조이기는 옳은 방향"이라고 말했다.


신한금융이 긴급재난지원금의 자발적 기부에 나선 이후 다른 금융사들도 잇따라 기부행렬에 동참하기 시작한 것도.눈길을 끈다.


현재 신한금융에 이어 KB‧하나‧우리금융이 기부 동참을 선언했고, BNK금융그룹도 임직원 100여명이 기부 의사를 밝혔다. 이에 따라 국내 금융사 가운데 재난지원금 기부 뜻을 밝힌 곳은 9곳으로 늘었다.


당초 금융권에선 농협과 메리츠금융이 임직원의 동의 절차를 밟지 않은 채 재난지원금 기부소식을 발표해 잡음이 일기도 했다. 하지만 '강제기부'논란에 머뭇거리던 금융사들도 리딩뱅크의 기부 결정에 따라갈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이다.


이에 주요 금융그룹에서 재난지원금 기부 발표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업계에선 '정무적 판단'이 필요할 때에는 신한이나 KB금융 등 대형 금융그룹의 움직임을 먼저 보고 따라가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난 2015년 정부 주도로 진행된 '청년희망펀드'를 비슷한 사례로 꼽았다.


금융권 관계자는 "당시 청년희망펀드 가입 열풍이 불었을 때 재계에선 삼성그룹이 가장 먼저 지원을 시작해 다른 기업들의 기부로 이어졌고, 금융권에선 KB‧신한‧하나금융부터 시작했다"며 "사회적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것은 업계 바로미터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