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比 범보수 0.1%p↑, 범진보 2.2%p↓
文정부 핵심 지지층 40대서도 오차범위 내 접전
호남 제외한 전 지역서 범보수 응답률 더 높았다
"靑 참모 부동산 논란으로 진보층 분열 인 듯"
자신의 정치성향이 보수 또는 중도보수라고 응답한 범(凡)보수 응답률이 2주 연속으로 진보 또는 중도진보라고 응답한 범진보 비율을 앞질렀다.
데일리안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알앤써치에 의뢰해 실시한 8월 둘째 주 정례조사에 따르면, 자신의 정치성향이 범보수라고 응답한 비율은 45.4%, 범진보라고 응답한 비율은 37.4%를 기록했다. 범보수 응답률은 전주보다 0.1%p 올라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고, 범진보 응답률은 전주보다 2.2%p 떨어져 최저치를 보였다.
김미현 알앤써치 소장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전에는 (범)보수가 50%를 훨씬 넘는 경우가 많았다"며 "문 정부 들어 진보층이 늘었었는데, 이번 부동산 논란으로 보수층은 결집한 반면 진보층에서는 분열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 소장은 "(김조원) 청와대 전 민정수석의 집 두채 논란 등이 진보층의 분노를 키웠고, 그것이 결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성향별로 살펴보면 중도보수라고 응답한 비율이 30.3%로 가장 높았고, 중도진보(24.7%), 보수(15.1%), 진보(12.7%)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문재인 정부의 핵심 지지층인 40대에서 범보수(39.5%)와 범진보(41.1%) 응답률 격차가 오차 범위 내로 좁혀졌다. 20대에서도 범보수 38.1%, 범진보 39.4%로 오차 범위 내에서 접전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50대와 60대에서는 범보수-범진보 응답률이 각각 50.4%-37.3%, 53.0%-28.0%로 범보수 응답률이 범진보를 훌쩍 넘어섰다. 반면 30대는 범진보 46.7%, 범보수 40.4%로 여전히 진보 성향 응답률이 더 높았다.
지역별로는 전남·광주·전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범보수 응답률이 더 높게 조사됐다. 강원·제주, 대구·경북의 경우 범보수 응답률이 각각 59.7%, 58.3%로 60%에 육박한 반면, 범진보 응답률은 각각 23.2%, 27.2%에 그쳤다.
서울과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의 경우 범보수 응답률이 43~46%, 범진보 응답률은 나란히 37%대를 보였다. 전남·광주·전북의 경우 범진보 47.5%, 범보수 35.9%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 10~11일 전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 100% RDD 자동응답방식으로 진행했다. 전체 응답률은 4.9%로 최종 1028명(가중 1000명)이 응답했다. 표본은 올해 2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기준에 따른 성·연령·권역별 가중값 부여(셀가중)로 추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자세한 내용은 알앤써치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