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문대통령 "코로나 위기 아세안과 극복"…'신남방 플러스' 발표


입력 2020.11.13 04:00 수정 2020.11.12 21:42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아세안 정상회의서 '7대 핵심 협력 분야' 소개

"포괄적 보건 의료 협력 등 실천 가능 방안" 강조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지속적인 관심·지지 당부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제21차 한-아세안 화상 정상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은 12일 아세안 10개국과의 화상 정상회담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주도적으로 열어가며 '사람 중심의 평화·번영의 공동체'를 더 빠르게 현실로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라며 '신남방정책 플러스 전략'을 발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화상으로 개최된 '제21차 한-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했다. 아세안 회원국은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 10개국이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 대응을 위해 전 세계가 긴밀한 연대와 협력이 필요한 시기에 '한-아세안 정상회의'를 개최하게 된 데 의미를 부여하고, '신속 통로 제도'와 '특별 예외 입국' 등을 통해 교류와 협력을 지속해 한국이 코로나를 극복해나가는 데 큰 힘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한국도 아세안과 함께 서로 도움을 나누고자 한다. 한국은 지금까지 형편이 되는 대로 진단키트와 마스크를 비롯한 방역물품을 나눴고, 드라이브 스루와 워크 스루 같은 K-방역의 경험을 공유했다"며 "코로나 아세안 대응기금과 필수 의료물품 비축 제도에도 적극 참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문 대통령은 한국이 국제사회의 백신 개발에 동참하고, 국제백신연구소(IVI) 등 국제기구를 통해 백신과 치료제가 아세안 모두에게 공평하게 보급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지난 3년 간 '신남방정책'이 아세안과 한국 모두에게 도움이 됐다고 평가하며 '신남방정책 플러스 전략' 7대 핵심 협력 분야를 소개했다. 그는 "아세안과 한국이 협력하면 코로나 위기와 그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며 " 포괄적 보건 의료 협력을 비롯한 7대 핵심 협력 분야를 중심으로 새롭고 실천 가능한 방안이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에 따르면 7대 핵심 협력 분야는 △포스트 코로나 포괄적 보건의료 협력 △한국의 교육모델 공유 및 인적자원 개발 지원 △한류 활용 쌍방향 문화 교류 증진 △상호 호혜적이고 지속가능한 무역 투자 기반 구축 △상생형 농어촌 및 도시 인프라 개발 지원 △공동번영의 미래 산업 분야 협력 △비전통적 안보 분야 협력이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로 인한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이날 공식 출범한 '아세안 포괄적 회복방안 프레임 워크'를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히면서 "아세안이 제시한 5대 핵심분야와 '신남방정책 플러스 전략'의 결합을 통해 아세안과 한국이 함께 위대한 번영을 누리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에 아세안 정상들은 문 대통령이 아세안과의 협력 강화를 위해 '신남방정책 플러스 전략'을 제안해 준 데 환영하면서, 이를 위해 적극 협력할 준비가 돼있다고 했다.


더불어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아세안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지를 당부했으며, 아세안 정상들은 변함없는 지지를 재확인했다.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