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게 다 얼떨떨했다…솔직히 즐기지는 못했다. 한국에 와서 확인 하니 (외신에) 내 이야기 있어 신기했다.”
“연기를 하면 내가 생각하지 못한 지점들을 건들게 돼…사람을 굴리게 되는 것 같아 좋다.”
아이유에게 ‘브로커’는 첫 상업 영화였다. 다수의 드라마에는 출연했지만, 영화 경험은 거의 없던 아이유에게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라는 거장과 함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긴장도, 부담도 따르는 일이었지만, 지금껏 할 수 없었던 경험들을 하며 또 한 차례 성장을 이뤄낸 아이유다.
‘브로커’는 베이비 박스를 둘러싸고 관계를 맺게 된 이들의 예기치 못한 특별한 여정을 그린 영화다. 아이유가 이 영화에서 베이비 박스에 자신의 아이를 두고 갈 수밖에 없었던 엄마 소영을 연기했다.
지난 8일부터 관객들을 만나기 전, 제75회 칸 국제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며 아이유를 비롯한 영화 주역들이 모두 칸을 방문했었다. ‘브로커’로 첫 상업 영화에 도전한 아이유에게는 낯설기만 한 경험이었다. 초반에는 선배 송강호에게 의지를 하기도 했지만, 영화 공개 이후 연기에 대한 호평까지 받으면서 첫 칸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아이유다.
“모든 게 다 얼떨떨했다. 송강호 선배님께 많이 물었다. ‘잘한 것 맞아요, 실수한 거 아니에요?’ 이런 걸 모두 선배님께 여쭤봤다. 많이 떨었고, 그래서 솔직히 (영화제를) 즐기지는 못했다. (연기 비평 부분은) 당시 일정이 빠듯해서 찾아볼 여유가 없었다. 관계자 분들께서 좋은 평이 많다고 해주셔도 그냥 하는 말인 줄 알았다. 한국에 와서 번역기도 돌려보면서 확인을 하니 진짜 내 이야기들이 있더라. 나에 대해 언급된 평들이 있어 신기했다.”
촬영 단계에서도 내내 긴장감을 안고 있었다. 고레에다 히로카즈라는 거장과의 작업에 대한 부담은 물론, 송강호와 강동원, 배두나 등 선배 배우들과 함께 작업을 하면서 남다른 책임감을 느낀 것이다. 그러나 늘 배려하며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해주는 감독님, 선배들의 도움을 받아 부담감을 극복해 나갔다.
“‘내가 송강호 선배님 앞에서 잘할 수 있을까’ 등에 대한 걱정이 있었다. 그러다 보니 감독님도 귀찮게 많이 해드렸었다. 대본에 나오지 않은 구체적인 전사나 혹은 소영이 왜 그런 선택을 했고, 이 지점에선 왜 그렇게 행동을 했고, 왜 후회가 없는 친구인지 등 꼬치꼬치 물었었다. 그럴 때마다 감독님이 애매한 지점 없이 대답을 해주셨다. 시간이 좀 걸릴지라도 의문이 없는 답변을 해주셨다. 그 지점에서 의지를 많이 했다.”
‘엄마’라는 캐릭터도 표현하기에 쉽지는 않았다. 다만 ‘엄마 역할을 연기해보고 싶다’는 소망을 가지던 차에 ‘브로커’에 대한 제안을 받게 됐고, 새로운 캐릭터를 통해 색다른 경험을 해볼 수 있을 것 같아 기대감을 가지고 시작을 하기도 했다.
“막연하게, 어떤 역할을 하고 싶은지 스스로 물어봤을 때 엄마 역이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딱 그런 시기에 말도 안 되는 (정확한) 타이밍에 이 역할이 들어온 거다. 당시에 엄마 역할을 하고 싶었던 이유 출산을 경험해본 사람, 그런 고비를 넘긴 사람의 감정선을 이해해보고 싶다는 막연한 지점이었던 것 같다. 연기를 하고 나서도 경험을 해보지 못한 일이라 전부 이해하진 못했을 것이다. 그래서 또 다른 엄마 역할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다.”
이는 아이유가 연기에 도전하는 이유와도 닿아있었다. 해보지 못한 경험을 하고, 이를 통해 해보지 않았던 생각들을 하게 되면서 성장해나가는 즐거움이 있었던 것이다. 노래를 할 때와는 또 다른 즐거움을 주는 연기의 매력에 푹 빠진 아이유는 앞으로도 새로운 것을 경험하고, 배우는 것을 멈추지 않을 예정이다.
“연기를 하면 내가 살면서 전혀 생각하지 못한 지점들을 건드는 것 같다. 사람이 관성적으로 살게 되지 않나. 예를 들어 소영 역할을 했기 때문에 30살이 될 때까지 생각해보지 못했던 사회 이면을 생각했다. 미혼모에 대해, 엄마에 대해 생각해보는 경험은 이런 기회가 아니면 할 수 없었을 것이다. 내가 늘 습관대로 하던 생각만 했을 때는 더 나아가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도 생각을 해 볼 수 있다. (연기는) 사람을 굴리게 되는 것 같아 좋다.”
‘함께’ 하는 것의 즐거움도 느끼고 있다. 이 또한 솔로 가수로 활동할 때는 느끼지 못했던 새로운 재미였다. 이러한 매력들이 연기 도전의 이유이자 동시에 원동력이 되고 있었던 것이다.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 것도 좋다. 프로듀싱을 하게 되면서부터는 외로운 순간도 찾아오게 된다. 내가 하나하나 선택을 하는 게 맞나, 또는 내 선택이 맞나 이런 걸 반문하게 될 때도 있는데, 그럼에도 팀원들에게는 티 내지 말아야 한다는 강박도 있다. 그런데 드라마나 영화를 할 때는 완벽한 팀 생활이 된다. 감독님, 작가님이 다 따로 계신다. 각 역할이 다 정해져 있다. 그래서 안정감이 들고, 모르고 지낸 사람들이 하나의 목표를 가지고 같이 간다는 것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