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 용산, 성북, 영등포구 등 지역 50년 이상 된 하수관로 비중 40∼50%대
전국 발생 지반침하 867건 중 하수관 손상 원인인 경우 394건으로 가장 많아
하수도 특별회계 예산 외 재난관리기금 활용해 노후 하수관 교체 방안 검토
서울 하수관로의 약 30%가 50년을 넘긴 '초고령' 하수관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로, 용산, 성북, 영등포구 등 지역에서 50년 이상 된 하수관로 비중이 40∼50%대에 달했다.
15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서울 하수관로 총연장 1만866㎞ 중 50년 이상 된 하수관로는 3300㎞(30.4%)다.
30년 넘은 하수관로는 6028㎞(55.5%)에 달한다. 일반적으로 경과년수가 30년 이상이면 노후 하수관으로 분류한다.
지역별 현황을 보면, 50년 이상 된 하수관 비중은 종로구가 53.5%로 가장 컸다. 용산구(48.5%), 성북구(47.7%), 영등포구(45.7%), 마포구(45.4%), 구로구(43.5%), 성동구(42.2%)도 40%를 넘겼다.
30년 이상 하수관 비율은 종로구(66.3%), 도봉구(66.2%), 용산구(65.2%), 영등포구(63.6%), 서초구(63.2%) 등 순이다.
노후 하수관은 싱크홀(땅 꺼짐)의 주범으로 꼽힌다. 하수관의 구멍과 갈라진 틈 사이로 새어 나온 물이 땅속의 흙을 쓸어가면서 빈 공간이 생겨 땅이 내려앉는 원리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전국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총 867건 중 하수관 손상이 원인인 경우는 394건(45.4%)으로 가장 많았다. 그 외 원인은 다짐(되메우기) 불량(18.0%), 굴착공사 부실(9.8%), 기타매설물 손상(7.0%), 상수관 손상(4.8%) 등이었다.
서울시는 싱크홀 예방을 위해 GPR(지표투과레이더) 장비를 활용한 지하 공동(空洞) 탐사를 하고 복구 작업을 벌인다. 다만 GPR은 지하 2m까지만 검사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어 주요 위험 요소인 노후 하수관 정비도 병행하고 있다.
문제는 막대한 예산이다. 시는 매년 약 2000억원을 들여 노후 하수관로 100㎞가량을 정비하지만, 노후도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이에 본래 투입하는 하수도 특별회계 예산 외에 재난관리기금 등을 활용해 교체 속도를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더 신속한 정비를 위해선 시 차원의 예산 확보 노력에 더해 국비 보조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시 관계자는 "연평균 150㎞ 정도를 정비해야 노후도에 대응할 수 있어 추가 재원 마련에 힘쓰고 있다"며 "정부에도 예산 지원을 요청했고 현재 협의 중"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