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연장, 청년 일자리와 충돌 우려…신중 접근 필요”
“퇴직연금 의무화, 제도보다 수용성 중요…세제 지원 논의 중”
김민석 고용노동부 차관은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등이 대선 공약으로 내세운 주 4.5일제나 주 4일제에 대해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차관은 7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각종 노동 현안에 대해 고용노동부의 입장을 설명했다.
김 차관은 “주 4일제, 주 4.5일제를 단번에 한다면 근로시간은 줄고 임금이 올라가 연장·야간수당이 오르고, 부대비용도 오른다”며 “결국 이를 시행하려면 정부 재정 지원이 필요하고 그 지원에 얼마나 투자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민주당도 일률적으로 (주 4일제·4.5일제를) 시행하겠다는 건 아닐 것”이라며 “규모별로 도입한다든지 재정을 지원한다든지 여러 보완책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차관은 시범사업 중인 필리핀 가사관리사 사업이 올해 본 사업으로 전환되는 것과 관련해 고용부의 입장을 밝혔다.
김 차관은 고용부의 필리핀 가사관리사 시범사업의 본 사업 도입과 관련해 “6개월 해보니 84%가 만족했지만 돈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해당 사업은 초장부터 ‘이용 비용이 비싸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김 차관은 “국내(가사관리사)분들 이용하려면 300만 원은 줘야 하는데, 대안이 없어 (가사관리사) 공급을 늘려 가격을 낮추자는 의도로 시범사업을 했다”면서도 “하지만 지불하는 사람 입장에서 금액이 올라 돈 문제가 해결되지 않다보니 쉽지 않더라”고 말했다.
당초 사업은 올해 2월까지 6개월 간 시범사업으로 도입됐는데, 정부는 시범사업을 1년 더 연장한 바 있다. 이용료도 시간당 1만3940원에서 3월부터 1만6800원으로 2860원(20.5%)으로 올랐다.
시범사업은 올 6월 본 사업으로 전환돼 전국 단위로 확대될 예정이었다. 그런 가운데 고용부에서 회의적인 시각을 내비친 것이다.
이날 김 차관은 정년연장 등 계속고용 문제와 관련해 입장을 말하기도 했다.
김 차관은 “청년층 일자리와 관련해 직접적인 충돌 문제가 있으므로 깊이 고민해야 한다”면서 “정년 연장이 되면 좋겠지만 기업의 부담도 있고 이미 고용 안정을 가진 분들은 조금 다르게 봐야 하지 않냐는 게 제 생각”이라고 말했다.
퇴직연금 가입 의무화에 대해선 “제도를 바꾸는 건 쉬운데, 수용 가능성이 있느냐가 문제다. 중소기업에서도 괜찮다고 하면 곧바로 법 개정을 할 수 있다”면서도 현장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고민 중이다. 세제 지원이 얼마나 되느냐를 재정 당국과 협의해 끌어올리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