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엔 풍수해·지진 등 자연 재난, 하반기엔 화재·산불 등 사회 재난 중심 진행
전문가와 현장 위험요소 발굴해 훈련 시나리오에 반영…지역주민 훈력 직접 참여
행정안전부는 23일까지 103개 기관 주관으로 '2025년 상반기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한다고 12일 밝혔다.
올해 안전한국훈련은 재난 발생 시기를 고려해 상반기에는 풍수해·지진 등 자연 재난, 하반기에는 화재·산불 등 사회 재난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최근 3년간 자연 재난으로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됐던 경기 파주와 전북 익산 등 58개 지역은 풍수해 훈련을 의무적으로 실시한다. 또 최근 산불 피해가 발생한 경북 안동과 의성 등은 피해복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훈련을 취소 또는 연기할 예정이다.
이번 훈련에서는 현장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양수기와 수중펌프 장비를 가동하고, 전문가와 함께 현장 위험요소를 발굴해 훈련 시나리오에 반영했다. 또 지역주민이 대피나 응급복구 훈련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어린이나 노인과 같은 취약계층 보호조치도 점검한다.
기관별 주요 훈련 내용을 보면 산림청은 충남도, 금산군과 함께 산사태 재난에 대비해 산사태 예보 발령에 따른 주민 대피 훈련과 국민행동요령 교육을 진행한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전북도, 임실군과 함께 지진으로 인한 댐 붕괴 상황 대비 훈련을 실시한다. 하류 지역 주민 대피 훈련과 함께 드론과 원격조정무인잠수정을 활용해 피해 점검과 긴급 복구를 진행한다.
한국도로공사는 집중호우로 도로 비탈면이 유실되면서 차량 매몰, 연쇄 추돌 및 기름 유출로 이어지는 복합 재난상황 대비 훈련에 나선다.
최근 인도·일본 등에서 사상자가 발생한 낙뢰에 대비한 훈련도 실시한다. 한국석유공사과 전남 곡성군은 낙뢰로 인해 석유비축기지 지상 탱크에 화재가 발생한 상황을 가정, 주민 대피와 관계기관 협업 체계를 점검한다.
한편 행안부는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단을 통해 기관별 훈련 과정에 대한 컨설팅과 평가를 실시한다. 평가 결과를 토대로 개선 필요 사항을 재난 대응체계에 반영하고, 우수사례는 관계기관에 공유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