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윤석대 사장 주재 대책회의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는 15일 윤석대 사장 주재로 전국 20개 다목적댐 관리자 42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주댐에서 전사 합동 홍수대책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와 함께 극한 강우 상황을 가정한 실전형 모의훈련과 주요 시설물 점검도 병행했다.
수자원공사는 이날부터 본사 물관리 종합상황실을 주축으로 전국 33개 댐 운영부서가 상시 비상 대응체계에 돌입한다.
수자원공사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세계적으로 초단기 집중호우가 반복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지난해 7월 전라·충청권 일대에 시간당 100㎜가 넘는 집중호우가 내렸다”고 강조했다.
수자원공사는 “이때 용담댐은 수문 방류 없이 버텼고, 대청댐은 유입되는 홍수량 90%를 저류하며 하류 지역이 홍수에 대비할 시간을 벌어줬다”고 덧붙였다.
이에 수자원공사는 홍수기(6월 21일~9월 20일)를 한 달 이상 앞두고 비상 대응 역량을 동원해 실전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다목적댐을 사전에 방류해 68억1000만t의 물그릇을 미리 확보한다. 이는 지난해 대비 5억6000만t 늘어난 용량이다. 댐 설계 당시 홍수조절용량(21.8억㎥) 기준으로는 3배가 넘는다.
전체 다목적댐 수위를 홍수기제한수위보다 평균 약 10m 정도 낮춰서 물그릇을 확보한다. 준공한 지 평균 30년이 지난 전국 댐으로 최근 기후변화 현실에 대처하기 위한 조처다.
국민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댐 방류 때 하류 영향까지 고려한다. 실시간 기상예보에 따른 홍수 영향권을 분석하고, 디지털트윈(가상 모형)으로 실제 댐 유역을 가상현실에 복제해 하류에 피해를 최소화한다.
하천 제방과 도시 배수를 담당하는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협업을 강화한다. 수문 방류 때 사각지대 없는 신속한 정보전달을 위해 재난 문자, 카카오톡 알림 등 전파 체계를 다각화한다.
비상시 댐 설비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예방 점검도 강화하고 있다. 지난 4월부터 충주댐을 포함한 전국 댐의 여수로·수문·비상 방류시설의 동작 시험을 하고 있다.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평소 방식으로는 극한 기후에 대응하기 어려운 시대”라며 “전국 다목적댐 물그릇을 최대치로 확보하고, 디지털트윈 등 초격차 물기술 및 관계기관과 협업체계 등 가용 역량을 총동원해 홍수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