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업계가 생산기술, 환경, 품질 부문 등 최신 트렌드에 대한 활발한 교류와 당면 현안 해결을 위해 지혜를 모으는 기술교류회가 개최됐다.
16일 한국시멘트협회는 16~17일 양일간 강원도 원주에 위치한 오크밸리리조트 힐스빌리지에서 ‘제52회 시멘트 심포지엄’ 행사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국내 9개 시멘트업계 임직원 및 최종훈 강원특별자치도 과장, 황해진 한국세라믹학회 회장을 비롯해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석회석신소재연구소, 공주대, 한양대, 부산대 등 국내외 시멘트산업 전문가, 관련 학계 등 약 360명이 참가했다.
심포지엄에선 시멘트 업계 관계자 및 외부 전문가의 특강이 진행됐다.
쌍용C&E는 ’시멘트 산업의 탄소중립 R&D 추진현황 (혼합시멘트 제조기술 분야)’, 아세아시멘트는 ’시멘트 산업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설비설치 운영계획’, 협회는‘KS 제·개정 동향’ 등에 대한 특강을 실시했다.
이어 김동일 한국건강진단기관협의회 회장이 ‘시멘트공장 근로자들의 건강영향평가 및 임직원 주치의 사업’을, 김진효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는 ‘최근 기후변화 정책 및 주요국 탄소관련 무역규제 동향’ 등의 특강을 발표했다.
이 외에도 총 19편(시멘트 탄소중립 세션, 시멘트 제조공정 및 수화 세션)의 논문 발표와 함께 활발한 질의·응답의 시간을 가졌다.
또 올해 심포지엄에는 배성철 한양대 교수가 시멘트 관련 분야 미래 인재를 발굴․양성하고 시멘트산업의 경쟁력을 지속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추진 중인 산학프로젝트‘친환경 시멘트전문인력 양성사업’을 소개하였으며 공주대, 부산대, 한양대 연구진의 연구논문 9편도 발표됐다.
전근식 한국시멘트협회 회장은 축사에서 “국내 시멘트 산업은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른 수요 감소와 함께 지속적인 전기요금 인상 압박, 강화되는 환경 규제 등 복합적이고 구조적인 도전에 직면했다”며 “SCR 설비 도입, 혼합시멘트 KS 개정 등 현안 중심의 특강과 세션들은 탄소중립 전환과 제도 변화 대응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협회는 정부, 학계,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