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내 공무원을 사칭하며 허위 공문서를 이용해 물품 구매를 유도하는 등 전국 각지에서 공무원 사칭 범죄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6일 경남 고성군에 따르면 지난 4일 상족암군립공원사업소 직원을 사칭한 사람이 지역 건설사에 제습기 구매 대금 2600만원 선결제를 요구했다. 건설사가 먼저 공급업체에 대금을 입금해 주면 추후 사업소에서 되돌려 주겠다는 것이다.
사칭범은 위조된 명함과 공문서를 제시했다. 명함에는 안태현 주무관이라는 이름과 사업소 주소, 전화번호가 있었다. 제습기 구매라는 제목의 공문에는 '본 사업소는 다음과 같이 물품 지급 결제를 확약한다'는 문구가 적혔다.
건설사가 해당 사업소에 관련 내용을 질의했고 사칭 범죄라는 사실을 인지하면서 실제 피해로 이어지지 않았다.
고성군은 "공문서를 비롯해 명함, 공무원증 등을 개인에게 전달하며 이를 근거로 물품의 대리구매를 유도하는 일은 없다"며 "재발 방지를 위해 공공기관 명의도용이나 공문서 위조 사례에 대한 대응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4일 강원도 양양군에서는 양양군청 공무원을 사칭한 사기범이 지역 한 철물점에 위조된 문서, 명함, 공무원증 등을 휴대전화로 전송해 96만원 상당의 파라솔을 다량 구매를 시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철물점 주인이 지자체 관계부서에 확인해 금전적인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지난달 21일 강원도 동해시의 한 사업자는 동해해양경찰서 명의로 위조된 공문서와 무전기 판매 링크가 포함된 문자를 받았다. 이 업자는 "해경과 무전기 2000만원 상당의 계약이 체결돼 있으니 선입금하면 수수료를 입금해주겠다"는 피의자의 말을 믿고 실제로 2000만원을 입금했다.
이후 이상함을 느껴 해당 공문의 진위 확인을 위해 동해해양경찰서를 직접 방문한 뒤에야 물품 사기임을 확인했다.
경북 포항지역에서도 같은 달 22일 비슷한 유형의 사건이 발생했다.
포항지역 업체 4곳이 '포항해경이 철거공사를 추진 중이며, 무전기 13대(약 1200만 원 상당)를 선결제하면 추후 수수료 10~20%를 지급하겠다'는 공문을 받은 것이다. 이 중 한 업체가 1200만원을 선입금했고, 이후 연락이 되지 않자 뒤늦게 피해 사실을 알아차렸다.
각 지자체들은 "공무원이 현금이나 수수료를 직접 요구하거나 제3자에게 대납을 요구하는 경우 즉시 경찰에 신고해달라"며 "의심스러운 연락이나 문서를 수신할 경우 112 또는 해당 지자체에 즉시 문의해달라"고 당부했다.
1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