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참모본부 패싱' 절대로 있을 수 없어…합참의장 및 작전본부장에 보고"
"대통령 지시 아니고 만난 적됴 없어…김용현·여인형과 작전 논의도 안 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23일 '평양 무인기 의혹'의 핵심 피의자인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을 재차 소환했다.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김 사령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김 사령관은 이날 특검 조사에 출석하면서 "'합동참모본부(합참) 패싱'은 절대로 있을 수 없다"며 "합참의장에도 보고한 것이 있고, 작전본부장에는 모든 공유를 했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 작전과 관련해 "북한의 오물 풍선으로 국민들의 피해가 컸던 상황에서 야전 지휘관으로서 대응책을 생각해 보고한 것"이라며 "대통령 등이 지시해서 시작된 작전이 아니고, 대통령을 만난 적도 없다"고 주장했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대통령 경호처장 시절부터 작전 관련 보고를 받았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김 전 장관과) 오래전부터 알고 지냈지만, 작전을 보고한 적은 없다"고 설명했다.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작전 전후 여러 차례 통화한 것에는 "여인형과는 육군사관학교 동기고, 인력 수급 관련 어려움 등을 토로했던 것"이라며 "작전과 관련해 방첩사와 논의한 것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김 사령관은 평양 무인기 작전 관련 외환·이적 의혹의 '키맨'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 목적으로 작년 10월께 드론사에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지시했는지 조사 중이다.
작전의 계획·준비 단계가 정상적인 지휘 경로인 합참의장을 건너뛰고 이뤄지는 '합참 패싱'이 있었으며, 이 과정에 민간인 신분이었던 김용현 당시 경호처장이 관여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당시 경호처장이던 김용현 전 장관은 이후 지난해 9월 국방부 장관에 취임했고, 다음 달 무인기 투입 작전은 실행됐다. 뒤늦게 작전을 보고받은 합참이 반대 의견을 냈지만, 김 전 장관이 이를 묵살했다는 진술도 나왔다.
특검팀은 작전 전후로 김 사령관과 김 전 장관이 수십차례 통화한 기록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작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여인형 전 사령관과 김 사령관이 통화한 기록도 확보해 조사 중이다.
특검팀은 김 사령관을 상대로 제기된 의혹 전반을 재확인한 뒤 구속영장 재청구 여부를 검토할 방침이다.
최근 피의자로 전환된 이승오 합참 작전본부장도 조만간 불러 조사할 것으로 관측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