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국내 스마트폰 점유율 첫 80% 돌파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입력 2025.08.14 14:11  수정 2025.08.14 14:11

갤럭시 S25·폴드7 판매 호조로 상반기 독주

애플, 9월 신제품 출시·가격 인상 변수

국내 스마트폰 판매량 기준 점유율 (1월-7월, 잠정치 기준)ⓒ카운터포인트리서치

올해 1월~7월 삼성전자가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처음으로 점유율 80%를 넘어섰다.


14일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이 기간 국내 스마트폰 누적 판매량 점유율은 82%로 전년 동기 대비 4%p 상승했다. 같은 기간 국내 스마트폰 전체 판매량은 소폭 감소했지만, 삼성의 판매량은 증가했다.


삼성의 판매량 호조에는 갤럭시 S25 시리즈 수요와 갤럭시 Z 폴드 7의 높은 초기 판매량이 영향을 미쳤다.


갤럭시 S25 시리즈는 퀄컴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셋 탑재 및 2억 화소 카메라 등 전작 대비 주요 하드웨어의 사양이 향상됐으나, 가격은 전작과 비슷한 수준이어서 소비자들의 구매 심리를 자극했다.


AI 이미지 생성과 AI 지우개 등 AI 기능의 완성도를 높여 주요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이뤄낸 점도 수요 증가를 이끌었다.


새로운 갤럭시 Z 폴드 7의 하드웨어 혁신도 삼성의 판매량 증가에 역할을 했다.


이번 제품은 S펜 탑재를 과감히 포기하는 대신, UTG(Ultra Thin Glass)의 두께를 증가시키면서 내구성 증가와 주름 개선을 이뤄냈다. 동시에 슬림화 및 경량화에 성공하며 디자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가격은 전작 대비 약 10만원 올랐지만, 높은 지원금 정책이 초기 판매 호조에 기여했다.


하반기에는 아이폰 17 시리즈 출시로 시장 판도가 바뀔 가능성이 있다. 애플은 작년부터 한국을 1차 출시국에 포함시켰고, 올해는 애플페이에 티머니를 도입시키는 등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 젊은 층에서 삼성 갤럭시 플래그십 수요가 다소 높아지고 있지만, 애플의 강력한 고객 충성도에 따라 9월 이후에는 삼성의 독주가 주춤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다만 삼성은 신제품 가격을 동결하거나 소폭 인상에 그친 반면, 애플은 관세 영향으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 소비자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가격 인상은 전체 판매량을 전년 대비 다소 위축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