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김대중·오부치 넘는 새 한일 공동선언 만들고 싶다"

김은지 기자 (kimej@dailian.co.kr)

입력 2025.08.23 08:40  수정 2025.08.23 08:42

일본 신문과 합동 인터뷰

23일 한일정상회담 방일

이재명 대통령이 6월 9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전화 통화를 준비하고 있다.ⓒ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이 "이번 방일이 미래지향적인 협력의 발판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특히 이번 기회에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넘어서는 새로운 한일관계에 관한 공동의 선언을 만들어 보고 싶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23일 보도된 아사히, 마이니치, 닛케이, 산케이 등 일본 신문과의 합동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양국이 새로운 공동 선언의 내용을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이 대통령은 이날 방일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는다.


대통령실이 이 대통령이 일본으로 출국하기 전 공개한 인터뷰 답변서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첫 해외순방국으로 일본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이시바 총리와는 취임 후 가장 먼저 통화를 했고, G7 회의에서도 가장 먼저 양자 회담을 하며 조속한 셔틀 외교 재개에 뜻을 같이 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 뜻을 실천으로 옮기고자 외교 관행에 얽매이지 않고 일본행을 결정했다"고 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잇는, 그리고 좀 더 나아가서는 그것을 넘어서는 새로운 한일관계에 관한 공동의 선언 그리고 그에 따른 진정한 새로운 한일관계, 발전적이고 또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한번 만들어 보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한일 셔틀외교 복원에 대해 강조하며 "수시로 왕래하면서 한국과 일본의 국민 간 교류도 좀 더 확대하고, 실질 협력도 강화하고, 또 한국과 일본의 관계도 물리적 거리만큼 가까운 관계로 발전하게 만들고 싶다"고 했다.


한일 간 경제협력에 대해선 "한일은 지금까지의 무역·투자·교류 정도의 협력 수준을 넘어서는 획기적인 경제협력 관계를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며 "동아시아를 포함한 태평양 연안국들의 경제협력기구를 확고하게 만들어 나가는 일도 이제는 진지하게 논의해야 할 때가 됐다"고 했다.


한일 간의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는 "사실을 정확하게 직시하고 서로에게 상처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앞으로 우리가 만들어 나갈 역사가 어떤 모습이기를 바라는지에 대해 깊이 고민하는 것이 미래지향적인 자세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강제징용과 위안부 문제는 대표적인 과거사 문제이고, 또 국민으로서 매우 가슴 아픈 일"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과거 한일 위안부 합의와 강제 징용 배상 해법에 대해 "국가 간 관계에서 신뢰와 정책의 일관성은 매우 중요하다. 이미 한 국가 정책을 쉽게 뒤집을 수는 없다"고 했다.


일본 측이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 해제를 요청한 것에는 "우리 국민의 일본 수산물에 대한 신뢰 회복이 우선이라 생각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한일관계에는 대립의 측면과 협력의 측면, 공존하면서 용인하는 측면이 동시에 존재한다. 서로에게 유익한 바를 최대한 찾아내는 게 중요하다"며 "어떤 나쁜 측면 때문에 유익한 면을 포기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일본 방문을 통해 이시바 총리와 신뢰와 유대를 구축하고 한일 간 미래지향적인 상생 협력의 길을 함께 모색해 나가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은지 기자 (kimej@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