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한일정상회담 직후 공동언론발표
"정상회담 결과 공동문서발표, 17년만"
"한일 발전이 한미일 강화로…선순환"
"한반도 비핵화 재확인…대북 공조 지속"
이재명 대통령이 한일정상회담 직후 이어진 공동언론발표에서 비핵화·저출산·고령화·재난안전·수소·AI 등 한일 양국이 공통적으로 직면한 과제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한일 당국간 협의체' 출범 합의 사실을 발표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23일 일본 도쿄 총리관저에서 열린 한일정상회담 직후 공동언론발표를 통해 "한일 양국은 다양한 분야에 있어 서로에게 유익하고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협력할 최적의 파트너"라며 "한일 정상은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 흔들림 없는 한일·한미일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했다. 한일관계 발전이 한미일 협력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만들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담에서 이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경제·사회·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제 분야에서는 수소·인공지능(AI) 등 미래산업 분야에서 시너지 발휘가 가능하도록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고 이 대통령은 설명했다.
사회 분야에서는 "저출산·고령화, 수도권 집중, 농업·재난안전 등 양국이 직면한 공통 과제에 공동으로 대응할 필요성에 공감했다"며 "정책 경험을 공유하며 해결 방안을 함께 모색하기 위한 당국 간 협의체를 출범시키기로 했다"고 밝혔다.
안보 분야에 대해서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 구축 의지를 재확인했다"며 "대북정책에 대한 긴밀한 공조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 이래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양자 방문 국가로 일본을 찾은 것은 내가 최초라고 한다. 한일정상회담 뒤 결과를 공동 문서로 발표하는 것도 17년 만에 처음"이라며 "우리가 한일관계를 얼마나 중시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 대통령은 "기존 관행에서 과감히 탈피해 국익 중심의 실용 외교를 실천하고 미래 지향적인 상생 협력의 길을 함께 열고자 하는 신념 위에 오늘 일본을 방문한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 "오늘을 계기로 양국 정상의 셔틀외교가 재개된 것으로, 이는 한일 관계가 정상 궤도에 올랐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셔틀외교가 한일 외교의 새로운 모델로 정착되기를 바란다"고 기대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