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베이비부머 은퇴시기 다가오며 경제적 어려움 겹쳐
과거보다 시니어 세대 건강수준 크게 향상된 점도 영향
지난해 전체 범죄 피의자 중 60대 이상의 비율이 처음으로 20대를 추월했다. 또 피의자 비중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5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가 심화됨에 따라 중장년 인구가 늘고, 이들의 은퇴시기가 겹치며 경제난이 심화된 것이 중장년 범죄자가 늘어난 원인으로 해석된다.
24일 경찰청이 발간한 '2024 범죄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범죄 전체 건수는 158만3108건으로 집계됐다.
피의자 연령별로 보면 50대는 26만2570명(20.6%)으로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어 40대(26만991명·20.5%), 60대 이상(23만8882명·18.8%), 20대(23만2924명·18.3%), 30대(21만6386명·17%), 18세 이하(6만1729명·4.8%) 순이었다.
60대 이상 피의자 비율은 매년 증가해 올해 처음 20대를 앞질렀다. 최근 5년간 20대, 40대, 50대의 비율이 전체적으로 감소 추세인 점과 대조된다.
2014년 통계를 보면 60대 이상 범죄 피의자는 전체의 8.8%였다. 10년 새 2배 넘게 비중이 증가한 셈이다. 반면 당시 20대 비중은 17.5%로 현재와 큰 차이가 없다.
범죄 유형별로 보면 살인 피의자는 60대 이상이 가장 많았다. 지난해 검거된 살인 피의자는 276명으로, 이 중 60대 이상은 64명(23.2%)을 차지했다. 40대(22.1%), 30대(20.4%), 50대(17.8%) 등이 뒤를 이었다. 50대와 60대 이상을 합하면 41%로 절반에 육박한다.
65세 이상 고령 살인 피의자는 44명이었는데 29명은 무직(65.9%)이었다. 또 초범이 12명(29.5%)으로 가장 많았다.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은 1명뿐이었다.
'생계형 범죄'가 많은 절도 피의자도 60대 이상(33.9%)이 가장 많았다. 50대(16.1%)까지 더하면 50%로 절반을 차지한다. 50대는 폭력(20.8%), 지능(22.1%), 교통(21.6%) 범죄에서 각각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전문가들은 은퇴를 시작한 1000만명가량의 2차 베이비부머(1964∼1976년생) 세대의 사회적 대우와 경제적 입지 변화를 배경으로 지목했다.
사회에서 충분히 역할을 할 수 있음에도 기회가 주어지지 않으며 좌절과 분노를 느끼는 이들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시니어 세대의 신체적 건강 수준이 과거보다 크게 향상된 점도 거론된다. 과거 평균수명이 60대이던 시절에는 60세를 넘으면 신체 활력이 떨어져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도 적었지만, 의학의 발달로 60대 이후에도 신체 활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자 범죄 피의자가 되는 경우도 많은 것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