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일 총국 산하 화학재료종합연구원 연구소 방문
"전략 미사일, 커다란 변혁 예고하는 의미있는 성과"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일 미사일 총국 산하 화학재료종합연구원 연구소를 방문해 탄소섬유 복합재료 생산 공정과 대출력 미사일 발동기 생산 실태를 파악했다고 2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참석차 베이징으로 출발하기 직전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관련 연구소를 방문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1일 김 위원장이 미사일 총국 산하 화학재료종합연구원 연구소를 방문해 탄소섬유 복합재료 생산 공정과 대출력 미사일 발동기(엔진) 생산 실태를 파악했다고 2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이 연구소가 "탄소섬유 복합재료를 이용한 대출력 고체발동기를 제작하고 지난 2년간 8차례에 걸치는 지상분출 시험을 통해 발동기의 동작 믿음성과 정확성을 검증한 시험 결과"를 점검하고, 앞으로 전문화된 계열 생산 토대 구축 문제를 협의했다.
통신은 "탄소섬유 복합재료를 리용한 신형 고체발동기의 최대 추진력은 1960kN(킬로뉴턴)으로서 대륙간탄도미싸일 '화성포-19'형 계렬들과 다음세대 대륙간탄도미싸일 '화성포-20'형에 리용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는 우리 전략 미싸일 무력의 강화와 능력 확대에서 커다란 변혁을 예고하는 의미 있는 성과"라고 치하하며 "전략무력 강화의 지름길을 열어놓은 해당 연구소의 과학자들에게 높은 급의 국가표창을 수여"하라고 지시했다.
북한의 ICBM 시험발사는 작년 10월 31일 '화성-19형'이 마지막이었다. '화성-19형'은 북한이 보유한 ICBM 중 가장 큰 기종이다. 북한은 김 위원장의 방중 전 이를 뛰어넘는 성능의 '화성-20형'을 개발하고 있음을 공개한 것이다.
기존의 화성-18형도 사거리 1만5000㎞ 이상으로 미국 본토 전역을 타격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북한 당국이 화성-20형을 개발할 경우 사거리를 확장하거나 탄두 중량을 늘려 파괴력을 키우는 능력을 갖출 것으로 관측된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탄소섬유복합재료란 가볍고 강도가 세고 열에 잘 견디는 탄소섬유에 다양한 수지를 결합해 만든 재료란 의미"라며 "이런 소재로 엔진 케이스와 내구성 높은 엔진을 제작했다는 의미로 엔진 무게를 줄이고 내구성을 높여 사정거리를 연장하거나 '다탄두'와 같이 무게를 감당하도록 했다는 의미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대추진력 1,960kN이라고 구체적 수치를 처음으로 밝혔는데, 이 추진력은 지구 표면에서 중력가속도(9.8 m/s²)를 기준으로 하면, 약 200t의 물체를 공중에 띄울 수 있는 힘에 해당한다"며 "보잉 747 여객기 한 개 엔진(250~280kN) 정도의 약 7~8개 분량, 스페이스X 팰컨9 로켓 1단 엔진(Merlin 1D, 약 845 kN) 2개 이상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북한 신형 ICBM 화성-20형 동체 공개 분석 자료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실
군사전문기자 출신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은 "북한이 백두산 엔진(액체) 보다 강한 것으로 추정되는 신형 고체엔진 탑재 화성-20 신형 ICBM 개발계획을 공개한 것은 북중러 정상이 만나는 중국 열병식 참가를 앞두고 미국과 대결 연대에 참가하겠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탄도미사일 제작을 위한 탄소섬유개발 기술을 완성함으로써 미사일 개발과 생산 능력도 과시하려는 의도로 보인다"며 "탄소섬유를 제작하기 위한 원료와 탄소함유율 98%인 노즐 제작을 위한 탄소섬유는 러시아로 부터 직접 지원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김 위원장의 이번 미사일연구소 방문은 1일 전용열차를 타고 베이징으로 떠나기 직전에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그는 지난달 31일에도 새로 조업한 중요 군수기업소를 방문해 미사일 자동화 생산공정을 점검했다.
특히 김 위원장이 2011년 집권 이후 중국 열병식 참석을 계기로 다자외교 데뷔전을 치르기 때문에 연일 국방 현장을 현지 지도한 것은 미국을 사정권으로 두는 플랫폼을 갖춘 '핵보유국' 지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의도로 분석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