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 당원·의원' 십자포화에도…與 초선, '소신발언' 지속 [정국 기상대]

김찬주 기자 (chan7200@dailian.co.kr)

입력 2025.09.18 04:10  수정 2025.09.18 04:10

盧사위 곽상언, '유튜버 권력' 경계 의견에

최민희 "내가 언제 머리를 조아렸냐" 발끈

곽상언 "김어준 비판에 왜 격분하나" 반격

이견 시 '집단공격' 가하는 여당서 이례적

곽상언 더불어민주당 의원(왼쪽)과 친여 성향 유튜버 김어준 씨 ⓒ뉴시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친여(親與) 성향의 정치 유튜브 채널 출연으로 강성 당원들의 지지를 얻어 각종 개혁 여론을 이끄는 가운데, 민주당 소속 166명 의원 중 한 명의 초선 의원이 소신 발언을 이어가며 여당 내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집단주의 성향이 짙어진 민주당의 현주소에서 이견을 낼 수 있는 자체가 미미하나마 당내 민주주의가 살아있다는 방증이란 안도감이 나온다.


17일 여권에 따르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위인 곽상언 의원(서울 종로·초선)은 최근 정치 콘텐츠를 취급하며 여론전에 나서는 일부 유튜버를 겨냥해 "몇몇 정치 유튜브는 단순히 정치적 의견 개진에 머무르는 것을 넘어 정치적 의제를 자의적으로 설정한다. '민주' '보수'를 표방하면서 정당 내부의 선거, 후보자 공천, 나아가 국가 정책 결정까지 개입하고 좌지우지한다"고 비판했다.


곽 의원은 "언론이 그냥 언론이 아니라 '언론권력'이 돼 정치권력을 흔들게 되면 사회·국가적 해악이 되듯, 유튜브도 그냥 유튜브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유튜브 권력'이 돼 정치권력을 흔들게 되면, 그 때부터 사회·국가적 해악이 되는 것"이라고 일갈했다. 유튜버 김어준 씨를 비롯해 극단적 정치 콘텐츠를 확대·재생산하는 유튜버들의 당내 영향력 확산을 우려한 것이다.


그는 김 씨를 비롯한 유튜버들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 시도를 경계한 의견에 오히려 김 씨 감싸기에 나선 일부 의원을 향해 "이익과 지위를 탐하며 유튜브 권력에 적극 편승하고 있다"고 냉소했다. 앞서 곽 의원은 지난 8일 "나는 그분(유튜버)들에 머리를 조아리며 정치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는데, 최민희 의원이 여당 의원들이 모인 텔레그램 단체 대화방에 "누가 머리를 조아렸냐"며 반발하자 역공에 나선 것이다.


앞서 지난 4·10 총선에 출마한 민주당 일부 후보들이 김 씨의 "차렷 경례를 한번 해달라"는 지시에 따라 "절도 할 수 있다"고 말한 뒤, 일제히 큰절을 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공개된 바 있다. 당시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민의를 대리하기 위해 나선 국회의원 후보들이 유튜버 김 씨가 시킨다고 넙죽 절 하는 모습이 기괴하다는 반응이 나왔다.


이와 관련, 곽 의원은 "나는 국회의원을 언급한 적 없는데 이상하다. (최 의원이) 아마 자신이 유튜브 권력이라고 생각하거나, 유튜브에 편승해 정치적 지위와 권한을 얻고 있는 것 아닐까"라며 "아니면 유튜브 권력을 신앙처럼 따르는 것일텐데, 그분이 격하게 반응하고 동료 의원들에게 내 글에 대해 말하는 걸 보니 아마 이분은 '내 유튜브 권력에 조금이라도 해가 되거나 신앙의 권위에 방해되는 그런 의견에 격분하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고 응수했다.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달 25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곽 의원과 같이 열흘 연속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는 초선 의원이 있는가 하면, 민주당이 추진하는 내란특별재판부 설치에 대해 '윤석열이 계엄을 발동해 총칼을 들고 국회로 들어온 것과 같다'는 주장을 했다가 강성 당원과 강경파 의원들의 뭇매를 맞고 일단 한 발 물러선 초선 의원도 있다. 특별재판부는 위헌 소지가 크다는 발언의 의도를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에 비유한 게 화근이 됐다.


다만 이같은 주장을 내세운 판사 출신 박희승 의원(전북 남원장수임실순창군·초선)의 위헌 소지 우려는 다방면에서 공감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당시 박 의원은 "우리 헌법 101조에 '사법권은 법관으로 구성된 법원에 속한다'고 돼 있다. 특별재판부 설치를 개헌없이 국회에서 논의해 법안을 통과시키려고 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한 발상"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면서 "더 신중해야 되는 것은 내란 재판을 해서 사람들 처벌을 정확히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당한 절차를 거쳐서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나중에 두고두고 시비가 될 수 있다"며 "실제로 재판을 했다가 나중에 그 재판부 구성 자체가 무효나 위헌이 되면 그 책임은 누가 질 것이냐"라고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당 일각에선 강성 당원들의 의견에 반론을 내면 집단공격을 가하는 민주당의 분위기에서 이같은 소신발언들은 아직 당내 민주주의가 미약하게나마 존재한다는 안도의 목소리도 나온다. 민주당 전직 중진 의원은 통화에서 "정치인이라면 해야 할 말은 해야 한다. 시류와 인기 영합에 쓸려 침묵하는 것은 비겁한 행태"라면서도 "그럼에도 초선 의원이 소신발언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아직 당내 민주주의가 조금은 살아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정국 기상대'를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김찬주 기자 (chan72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