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 美 진출 기업 위한 세미나…“관건은 HR 현지화”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입력 2025.09.25 15:00  수정 2025.09.25 15:38

미국 진출 한국기업의 현지화 가이드 등 세미나 열어

중장기적 HR 현지화...현지 인력 주도 ‘듀얼 리더십’ 제안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이 25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 의원회의실에서 열린 ‘미국진출 한국기업의 현지화 가이드 및 토탈 HR 솔루션’ 세미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대한상의

미국 내 공장과 법인을 운영하는 한국 기업이 늘어나면서 HR 현지화 전략이 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5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 의원회의실에서 ‘미국진출 한국기업의 현지화 가이드 및 토탈 HR 솔루션’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과 산업통상자원부 박종원 차관보, 김성수 HRCap(에이치알캡)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번 세미나는 최근 미국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 인력 구금 사건을 계기로 마련됐다. 특히 단기 파견 중심의 인력 운용 방식만으로는 현지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우리 기업들이 미국 현지에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HR 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전문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준비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조지아 사건의 외부·내부 요인을 분석하고 기업들의 대응 현황을 점검, 장기적 해법으로 현지화 기반 HR 관리체계 구축 방안이 제시됐다.


우선 외부 요인으로는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인 일자리 우선 정책과 반이민 기조에 따른 규제 강화, 전략산업(배터리·EV) 현장에서의 외국 인력 투입 확대, 이에 따른 지역사회 및 노조의 문제 제기가 지목됐다. 실제로 일부 현지 언론과 전문가들은 한국 기업이 단기 상용 비자나 ESTA를 활용해 파견 인력에 의존해 온 점을 지적하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외국계 기업 전반의 법규·노동 규정 준수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미국 현지의 지적은 우리 기업 내부의 구조적 취약성과도 맞물려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관행화된 단기 파견 중심 인력 운용이 주요 한계로 꼽혔다. 앞으로 기업들에게 현장 단속뿐 아니라 입국 심사 단계에서도 리스크가 크게 작용할 것으로 진단하고 ▲ESTA 출장 원칙적 금지 ▲목적 적합 비자(B1·L1·E2 등) 확보자만 출국 ▲소속·업무 범위를 명기한 증빙서류 필수 지참 ▲방문 목적의 명확화 ▲이슈 발생 시 즉시 보고 체계 마련 등 실무 조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전경.ⓒ대한상의

발표를 맡은 HRCap 김성수 대표는 “단기 대응을 넘어 궁극적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미국의 법·제도·노동시장에 맞춘 HR 거버넌스를 구축해 현지에 뿌리를 내리고 생태계를 형성하는 수준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한 “합법 비자 포트폴리오 확보, 협력사 규정 준수, 현지 인재기반 운영이 핵심이며, 이를 통해 단기 리스크를 흡수하고 중장기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미국 시장 진출에 필요한 HR 현지화(Localization) 전략이 구체적으로 논의됐다.


특히 비자 관리와 노동·법규 준수를 포함한 컴플라이언스 관리가 시급한 과제로 꼽혔다. 실제 현장에는 근로자마다 직무와 체류 기간이 달라 E-2(투자자), L-1(주재원), H-1B(전문직 취업), B1·ESTA(단기 방문) 등 다양한 비자가 혼용되고 있다. 이처럼 요건과 승인 절차가 달라 체계적 관리 없이는 리스크가 누적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이에 협력사를 포함한 모든 직원의 비자 상태와 체류 현황, 공정 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HR 컴플라이언스 ‘대시보드’와 비자 추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아울러 프로젝트와 직무별로 적합한 비자를 미리 시뮬레이션해 리스크를 분산하는 비자 포트폴리오 전략과 계약 단계에서 원청–협력사 간 비자·노무 책임을 명문화해 하도급 리스크를 차단하는 방안도 소개됐다.


인력 현지화도 해법으로 제시됐다. 파견 인력은 초기 기술 전수에는 필요하지만 장기 운영에는 비효율적이라는 점에서 파견 인력은 본사와 현지 조직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과 기술 전수에 집중하고 운영·법규·대외관계는 현지 리더십이 주도하는 ‘듀얼 리더십(Dual Leadership)’ 모델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모델이 현장에서 작동하려면 동시에 현지 인력 운용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교육기관과 연계해 현지 인재 파이프라인을 확충하고 현지 인사담당자와 법률·노무 전문가를 상주시켜 안정적인 운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대한상의는 한국인 전용 E-4 비자 신설을 위해 미국 주정부를 대상으로 서신을 발송하는 등 우리 기업의 미국 현지 인력 운영 지원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회원사들이 안정적인 현지 운영 체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정부와 협력해 다양한 지원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