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체전서 자유형 200m서 1분43초92의 기록으로 1위
중국 쑨양의 아시아기록 1분44초39 경신
1분43초대 클럽 가입으로 LA 올림픽 메달 청신호
남자 자유형 200m에서 아시아신기록 세운 황선우. ⓒ 뉴시스
한국 남자 수영의 간판 황선우(22·강원도청)가 남자 자유형 200m에서 아시아신기록을 세웠다.
황선우는 20일 부산 사직종합운동장 실내수영장에서 펼쳐진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전국체전)' 수영 경영 남자 일반부 자유형 200m 결승에서 1분43초92에 터치 패드를 찍었다.
이로써 황선우는 2023년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자신이 세운 최고 기록이자 종전 한국신기록이었던 1분44초40을 0.48초 앞당기며 새로운 역사를 썼다.
쑨양(중국)이 2017년 부다페스트에서 세운 아시아기록(1분44초39)마저 넘어섰다.
무엇보다 오랜 도전 끝에 1분44초대 벽을 깨고 1분43초대 클럽에 가입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황선우는 2023년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1분44초40으로 한국신기록을 세우고 금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수영의 새로운 희망으로 떠올랐지만 이후 부침을 겪었다.
역영을 펼치는 황선우. ⓒ 뉴시스
2022년 헝가리 부다페스트(2위), 2023년 일본 후쿠오카(3위), 2024년 카타르 도하(1위) 등 세계선수권 3회 연속 메달을 따냈지만, 큰 기대를 모았던 지난해 7월 파리 올림픽에서는 1분45초92라는 저조한 기록으로 결승 진출에 실패하는 충격을 겪기도 했다.
또 올해 싱가포르 세계선수권에서는 1분44초72의 기록으로 4위에 머물며 아쉽게 4회 연속 메달 획득에도 실패했다.
하지만 쑨양도 이루지 못한 1분43초대에 진입하면서 2026년 아이치·나고야 아시안게임 자유형 200m 2연패와 2028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메달 획득을 위해 비상할 힘을 얻었다.
이번 전국체전서 세운 기록은 싱가포르 세계선수권 기록과 견줬을 때 금메달을 차지한 포포비치(1분43초53), 은메달 루크 홉슨(1분43초84)과 큰 차이가 없고, 동메달을 획득한 무라타 다쓰야(1분44초54)보다는 훨씬 빠른 기록으로 올림픽에서도 충분히 해 볼만한 하다는 자신감을 얻기에 충분하다.
기록을 확인한 뒤 눈물을 한 번 쏟은 황선우는 시상식에서도 울었다. 긴 고통의 터널을 지나온 뒤에 세운 의미있는 기록이라 기쁨은 더욱 크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