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조사 일정 조율 중…사실관계 조사 상당부분 이뤄져"
"공범 가능성 크다면 피의자 조사도 가능…신병 방침은 없어"
박지영 내란특검보. ⓒ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내란 특검팀은 22일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혐의 입증에 필요한 주요 인물들 상당수에 대한 조사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특검은 일부 의원을 공범으로 판단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22일 법조계에 따르면 박지영 내란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국회 계엄해제 표결 방해 의혹과 관련해 "추 전 원내대표의 혐의 유무를 판단함에 있어 중요한 분들에 대한 조사가 상당수 이뤄졌다"며 "조사 내용 중 상당히 참고할 만한 내용이 있고, 사실관계 판단에 있어 필요한 조사는 어느 정도 된 상태"라고 밝혔다.
또 추 전 원내대표에게 최근 출석 요구를 통보했으나 추 전 원내대표가 국회 일정 등을 고려해 조사 일시를 정해달라는 의견을 전달해와 구체적 소환 일정은 아직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하지 않은 다른 국민의힘 의원들이 피의자로 전환될 가능성에 대해선 "무한히 피의자를 확대해야 하는 건 아니다. 기본적으로 특검은 필요한 범위 내에서 절제된 수사를 하고 있다"면서도 "정말 공범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 위주로 피의자 조사를 진행하는 것은 가능한 상황"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누구라고 특정하긴 어렵지만 공범 가능성을 아주 배제하고 있진 않다"며 "그 부분도 같이 조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추 전 원내대표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에 대해서는 "조사를 통해 증거관계와 기소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할 것이기 때문에 특정한 방침을 가지고 있지 않다"며 "몇 차례 조사를 진행할지도 현재로선 알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추 전 원내대표는 지난해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의 요청을 받고 의원총회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하는 방식으로 다른 의원들의 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팀은 그를 내란 중요임무 종사와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피의자로 입건한 상태다.
한편 특검팀은 23일 소환 조사가 예정된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해서도 곧바로 구속영장 재청구에 나서기보다 진술과 증거를 전반적으로 충분히 재점검할 시간을 갖는다는 방침이다.
박 특검보는 "법원의 영장 기각 사유가 위법성 인식과 관련된 만큼 위법성을 인식했다고 볼만한 증거 수집에 주력하고 있다"며 "물적·인적 증거를 전방위적으로 재점검하고 최대한 수집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승재현 법무부 인권국장은 전날 특검 참고인 조사에서 박 전 장관이 계엄 선포 직후 법무부 실·국장 회의에서 포고령의 위헌성에 대한 법리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듣고도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