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광공사 “평균기온 1.7도 상승…관광산업 전략 변화 불가피”
한국관광공사는 최근 7년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후변화가 국내 관광수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관광공사
공사는 기후 데이터와 이동통신 기반 관광데이터를 결합해 2018~2021년과 2022~2024년을 비교·분석했다. 관광지를 자연·휴양·역사·문화·레포츠 등 유형별로 구분한 뒤, 기온이 1도 상승할 때 나타나는 방문객 수 변화를 산출했다.
분석 결과 자연 관광지는 기온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다. 2022~2024년 6월 기준 기온이 1도 오를 경우 방문객이 9.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초여름 무더위가 관광 수요를 억제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휴양 관광지는 10월 기준 기온이 1도 오를 때 방문객이 13.5% 증가해 ‘따뜻한 가을’을 즐기려는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기타 관광지는 기온 변화에 비교적 둔감했다.
성수기 시점도 변화했다. 전통적인 봄 성수기로 꼽히던 5월 대신 3~4월이 새 성수기로 부상했다. 전국 벚꽃 개화 시기가 2018년보다 평균 3일 빨라졌으며 여름은 8월로 수요 집중이 이동해 한여름 관광 집중 현상이 뚜렷해졌다. 가을은 10~11월에 모든 관광지 유형에서 안정적인 성수기를 형성하며 기온 상승의 긍정적 영향이 유일하게 지속되는 계절로 분석됐다. 반대로 겨울은 스키장 개장 시기 지연과 적설량 부족으로 방문객이 줄어 겨울 성수기 개념이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지은 공사 관광컨설팅팀장은 “2018년 이후 국내 평균기온이 1.7도 상승하면서 관광 성수기의 계절 지도가 바뀌고 있다”며 “기후변화는 단순한 환경 이슈를 넘어 관광산업의 구조와 전략을 바꾸는 핵심 변수”라며 “이번 분석이 관광정책 수립과 상품 기획에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