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원 "비닉 상태로 쌓아온 연구 성과 실용화할 때"
필리조선소서 건조하면 "최소 5~10년 소요 가능성"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이 4일 국회 소통관에서 원자력 추진 잠수함 사업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30여년간 원자력 추진 잠수함 연구·개발에 투입된 누적 예산이 '수천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국 핵추진잠수함 건조 '승인'을 두고 오랜 기간 축적된 기술을 토대로 국내에서 자체 건조를 관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군사전문기자 출신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은 4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의 원자력추진잠수함 건조와 핵연료 공급 요청을 승인한 것은 "한미 군사·기술 협력이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는 상징적인 결정"이라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핵잠수함의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결단해달라고 했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이튿날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고 밝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건조 장소로 미국을 제시했는데, 한화가 소유한 미국 필라델피아의 필리조선소에는 잠수함 건조 시설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 유 의원은 "한국은 이미 대형 잠수함 신규 건조·정비시설과 방위산업 기반, 숙련 인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국방과학연구소와 연구기관들은 지난 30여 년간 소형 원자로, 열유체 해석 등에서 연구 실적을 축적해 왔다"고 밝혔다.
유 의원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원잠용 소형 원자로와 추진체 개발을 꾸준히 진행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이제는 비닉(秘匿·비밀리 감춤) 상태로 쌓아온 연구 성과를 실용화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30여년간 원자력 추진 잠수함 연구·개발에 투입된 누적 예산은 '수천억 원'에 이른다고 한다"며 "이렇게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한국형 원자력추진잠수함 사업을 접고 미국제 원자력추진잠수함을 도입한다면 천문학적인 예산 낭비 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유 의원은 "미국 펜실베이니아의 필리조선소는 잠수함 전용 시설이 없는 상선 중심 조선소로, 여기서 원잠을 건조하려면 전용 건조동과 방사선 차폐시설, 지역 주민 동의 절차 등 복잡한 과정을 새로 거쳐야 한다"며 "그렇게 되면 최소 5년에서 10년 이상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이미 확보된 저농축 우라늄(LEU) 기반의 국내 소형 원자로 설계를 활용해 한국 조선소에서 건조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며 "미국식 고농축 우라늄(HEU) 체계를 적용하려면 우리 소형원자로를 재설계해야 해 수년의 일정 지연과 엄청난 추가비용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정부는 국방·외교·에너지 부처가 참여하는 '한미조선협의체(SCG)'를 만들어 연료 공급과 기술 협력을 논의하고, 국내에는 '범정부 원자력추진잠수함 국책사업단'을 만들어 설계·제작·시험평가 등을 통합 관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유 의원은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며 "한국형 원자력추진잠수함은 반드시 우리 조선소에서, 우리 기술로 건조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