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업계 맞춤형 AI 모델 및 청구 서류 자동 인식 기술 등 공동 개발
KT 기술혁신부문장 오승필 부사장(왼쪽부터), 메리츠화재 경영지원실장 선욱 부사장, KT Enterprise부문장 안창용 부사장이 6일 KT 광화문 빌딩에서 ‘AI 기반 미래 금융 혁신’을 위한 전략적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하고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KT
KT는 메리츠화재와 함께 6일 KT 광화문 빌딩에서 간담회를 열고 ‘AI 기반 미래 금융 혁신’을 위한 전략적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KT의 AI 기술과 메리츠화재의 금융·보험 데이터 역량을 결합해, AI 기반 금융 서비스 혁신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 산업 간 협력 사례로 평가된다.
이번 간담회에서 KT와 메리츠화재는 사업에 연계 가능한 보험 및 금융 AI 모델을 개발하고, 고객 경험을 혁신할 수 있는 AI 기반 기술의 공동 연구 방향성에 대해 논의했다.
이를 통해 KT는 다양한 AX 사업 경험과 AI와 ICT를 아우르는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금융 및 보험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성과를 창출해 K Intelligence 서비스의 확산으로 이어갈 계획이다.
특히 메리츠화재의 방대한 보험 관련 데이터, 업무 문서 및 약관 등의 보험상품서류들이 KT의 AI 모델 제작 노하우 및 활용 솔루션과 결합돼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KT와 메리츠화재는 AI 금융 모델을 공동으로 활용하며 KT의 금융 및 보험 분야 AX 사업 확장 기회를 넓히는 한편 메리츠화재는 자사가 보유한 금융 특화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적용하며 실제 사업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보험 특화 AI 모델 개발 ▲AI 기반의 보상 자동심사를 위한 청구 및 의료 서류 인식 기술 ▲AI 기반 데이터 분석 및 생성 기술 등의 분야에서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
KT는 GPU 인프라와 AI 모델 등 연구에 필요한 환경과 자원을 제공하며, 한국어 인식 성능이 뛰어난 ‘믿:음 K 2.0’ 등의 라인업을 적극 활용한다. 특히 KT가 금융권의 망분리 환경에서 법률 특화 AI 모델을 성공적으로 개발한 경험을 토대로, 금융·보험 분야에서도 보안이 강화된 산업 특화 AI 모델 개발 역량을 확장할 계획이다.
또 KT가 자체 개발한 OCR(광학문자인식) 솔루션 ‘DocuSee’를 활용해 의료 및 보험 서류 인식 성능을 고도화한다. 이를 통해 복잡한 보험 청구 서류를 AI가 자동 인식·분석함으로써 보험 운영 업무를 효율화하고, AI 에이전트 도입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대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메리츠화재는 금융, 보험과 관련된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를 학습하고 활용 목적에 맞게 평가하여 AI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방침이다. 또한 고객 데이터 보호와 보안체계를 고려하면서 축적해온 업무 노하우와 보험 업무로직을 접목해 AI 기반 보상 시스템의 전문성과 고객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예정이다.
오승필 KT 기술혁신부문장 부사장은 “금번 양사간의 R&D 협력은 AI 기술과 금융사의 데이터 역량을 결합해 보험사의 업무 혁신 뿐만 아니라 고객에게 더 빠르고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미래 금융 기술 개발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이번 협력을 계기로 금융 산업과의 AI 기술 동맹을 확대해 대한민국 금융 산업의 AX를 선도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선욱 메리츠화재 경영지원실장 부사장은 “메리츠화재의 업무 역량과 KT의 AI 기술력을 바탕으로 금융 및 보험업에 특화된 AI 기술을 확보해 고객 경험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AI 서비스를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KT와 메리츠화재는 이번 AI R&D 협력 간담회를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보험 특화 AI 모델과 자동보상 청구를 위한 의료 서류 인식 기술 고도화를 완료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업적 시너지 창출을 위한 상호 협력을 지속한다.
KT는 나아가 국내 금융·보험 산업의 AI 전환(AX)을 선도하는 인슈어인텔리전스(Insur-Intelligence) 생태계 조성에도 앞장설 계획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