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北 사이버 범죄 돕고있어…군사 기술 지원도 계속"

정인균 기자 (Ingyun@dailian.co.kr)

입력 2025.11.19 13:52  수정 2025.11.19 13:55

"北해커, 중국 본토에서 활동…지난해 1조 9000억원 벌어"

지난 9월 4일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뉴시스

중국이 북한의 사이버 범죄를 돕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고 AP통신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연방의회의 자문기구인 미·중 경제안보검토위원회(UCESRC)는 이날 중국의 대미 견제 활동을 분석한 연례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북한의 독자 행보에 불만이 있지만 전략적 가치 등의 이유로 계속 보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북한의 사이버 범죄와 군사 관련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북한군 사이버 부대는 중국 영토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단순 정보수집을 넘어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 단체는 북한의 해커들이 지난해 13억 4000만 달러(1조 9618억원) 이상을 벌어들였다면서 “북한이 중국의 고도화된 IT(정보기술) 환경을 활용해 범죄를 저지르고 있는 만큼 중국 정부는 이 범죄에 책임이 있다”며 “북한 내부의 IT 인프라가 붕괴해도 북한 해커들은 중국에서 문제없이 범행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보고서에는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과의 무기 거래를 금지한 이후에도 기술 지원을 지속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보고서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이동식 발사대는 중국의 군수업체인 우주항공과학공업이 제작한 대형트럭을 개조한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지난 2월엔 군사용 드론 기술을 제공했다”고 전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정인균 기자 (Ingyu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