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 공동 1호 인가' 미래에셋증권 "1호 상품은 실적배당형"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입력 2025.11.19 17:41  수정 2025.11.19 17:41

혁신성장 기업 편입 상품도 출시 예정

배당형·프로젝트 상품으로 라인업 확장

미래에셋증권은 19일 금융당국으로부터 '공동 1호 종합투자계좌(IMA) 사업자'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미래에셋증권

미래에셋증권은 19일 금융당국으로부터 '공동 1호 종합투자계좌(IMA) 사업자'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미래에셋증권 측은 "금융당국으로부터 자기자본 요건과 함께 운용·리스크 역량을 갖춘 회사로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모험자본 활성화 정책에 발맞춰 벤처·중소 혁신기업 등 '생산적 금융' 분야로의 자금 공급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IMA는 증권사가 원금 지급 의무를 부담하면서 고객이 시중금리를 웃도는 수익을 기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도다. 고객 입장에서는 안정성과 함께 기존에 개인고객이 접근하기 힘들었던 기업대출·메자닌·프로젝트파이낸셜(PF)과 같은 기업금융 상품에 투자해 수익성까지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IMA를 통해 상품 구조를 세분화하고, 기존에 강점을 보유한 자산관리(WM) 부문과의 시너지를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고객마다 서로 다른 위험 선호도와 기대 수익률을 고려해 맞춤형 상품을 제공하겠다는 구상이다.


미래에셋증권 측은 "먼저 실적배당형 IMA 1호 상품을 시작으로, 배당형·프로젝트형(혁신성장 기업 편입) 상품으로 라인업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다만 단기적인 잔고 확대에 집중하기보다, 미래에셋증권이 보유한 글로벌 투자 역량과 벤처 투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양질의 IMA 2호·3호 상품을 순차적으로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전경남 트레이딩사업부 사장은 "IMA 도입 취지에 따라 모험자본에 적극적으로 자금을 공급할 것"이라며 "생산적 금융으로의 대전환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IMA는 원금 지급이 증권사 신용으로 이뤄지는 만큼, 글로벌투자전문회사로서 전문적인 리스크 관리 및 운용 역량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신뢰 있는 IMA 상품을 공급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10월 금융당국의 IMA 지정 관련 신속 대응을 위해 IMA본부를 신설했다. IMA본부는 상품 개발부터 운용까지 전담하는 조직으로, 시장 상황과 고객 니즈에 걸맞은 상품을 신속히 기획하고 제공할 예정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