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어지는 차기 여신협회장 선출…업계 ‘수수료·규제 대응’에 촉각

김민환 기자 (kol1282@dailian.co.kr)

입력 2025.11.20 16:50  수정 2025.11.20 16:52

수익성 악화…정책대응이 관건

관료 선호 속 하마평 분분

차기 여신금융협회장 인선이 한 달 넘게 지연되는 가운데 업계의 관심은 ‘시기’나 ‘인물’보다 가맹점 수수료·규제 대응 등 산적한 현안을 풀어낼 새 수장의 역량에 쏠리고 있다.ⓒ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차기 여신금융협회장 인선이 한 달 넘게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업계의 관심은 ‘시기’나 ‘인물’보다 가맹점 수수료·규제 대응 등 산적한 현안을 풀어낼 새 수장의 역량에 쏠리고 있다.


20일 여신금융업계에 따르면 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은 지난 10월 5일 임기를 마쳤지만 후임자가 정해지지 않아 직무대행 체제가 이어지고 있다. 협회는 회장후보추천위원회 구성 등을 위한 이사회 일정도 확정하지 못한 상태다.

▼ 관련기사 보기
“버틸 재간 없다” 카드사 실적 추락…규제·비용에 짓눌려
가맹점 수수료 줄자, 연회비에 기댄 카드사…지속 가능할까


인선 일정이 늦어지는 데는 금융당국의 조직개편과 롯데카드 해킹 사고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가 지난 8월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고로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하면서 일정 조율이 어려워졌고, 사고 책임을 지고 오는 12월 1일 자리에서 물러나기로 하면서 회추위 구성에도 변수가 생겼다.


여신금융협회 이사회에는 8개 전업카드사와 6개 리스·할부금융사, 1개 신기술금융사의 대표가 참여한다. 이사회는 회장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해 후보 공모, 서류·면접 심사 등을 거쳐 최종 후보를 선정하며, 회원사 총회 찬반투표까지 포함하면 전체 절차에는 1~2개월이 소요된다.


과거에도 인선이 지연된 사례가 있었다. 2019년에는 김주현 전 회장이 물러난 뒤 정완규 회장이 공식 취임하기까지 약 3개월간 공백이 이어졌다. 업계에서는 이번에도 비슷한 기간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인선 절차가 길어지면서 업계는 누가 새 회장으로 오는지보다 새 회장이 갖춰야 할 조건에 더 관심을 두는 분위기다. 신용카드 결제 수수료율 인하, 스테이블코인 규제, 총량 규제 등 대정부 현안이 많아 정부와의 조율 능력이 핵심 역량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관료 출신 선호 기류가 여전히 강하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특정 카드사 출신 민간 CEO를 부담스러워하는 내부 역학도 영향을 미친다.


현재 하마평에는 서태종 전 한국금융연수원장, 김근익 전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장 등이 관료 출신 후보로, 이동철 전 KB금융지주 부회장과 임영진 전 신한카드 사장이 민간 출신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업계가 인선 시기보다 인물의 ‘현안 해결력’을 더 주목하는 배경에는 카드사 수익성 악화가 있다. 삼성·신한·KB국민·현대·하나·우리 등 6개 전업 카드사의 올해 3분기 합산 순이익은 574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2.6% 감소했다. 누적 순이익도 1조6893억원으로 16% 줄었다.


연매출 1000억원 이하 가맹점에 대한 수수료 동결 조치가 올해 2월부터 3년간 적용되면서 카드사의 자율적 수익개선 여지는 더욱 좁아졌다. 카드사 매출의 60~70%가 수수료에서 발생하는 만큼 정책 방향은 실적과 직결된다.


업계는 이런 환경을 고려할 때 새 협회장이 업권의 정책 대응력을 얼마나 강화할 수 있느냐를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몇 년간 이어진 가맹점 수수료 인하로 수익성이 지속적으로 악화된 데다, 카드론으로 돌파구를 마련해보려던 시도도 최근 규제 강화로 막힌 상황”이라며 “지금 필요한 건 인선 속도보다 현안을 풀어낼 실질적 협상력”이라고 말했다.


이어 “업황이 녹록지 않은 만큼 업계를 대표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민환 기자 (kol128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