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특검, 尹 부부 내달 초 세 차례 소환…"변호인과 협의" (종합)

황인욱 기자 (devenir@dailian.co.kr)

입력 2025.11.20 17:06  수정 2025.11.20 17:53

'金 내달 4일과 11일·尹 17일' 각각 소환 예정

특검팀, 오는 12월28일까지 수사 기간 연장해

'금품수수 의혹' 혐의 다지기…이영 전 장관 소환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 ⓒ연합뉴스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수사 기간 연장에 따라 내달 초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를 세 차례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특검팀은 두 사람에 대한 소환에 앞서 여러 의혹에 연루된 관계자들을 조사해 혐의 다지기에 주력할 방침이다.


20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형근 특검보는 이날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서 브리핑을 통해 "김 여사에 대해 12월4일과 11일 두 차례, 윤 전 대통령에 대해 12월17일 한 차례 출석해 조사를 받는 것으로 변호인들과 협의했다"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음 주 초 해당 일자를 출석일로 정해 구치소를 통해 통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당초 특검팀은 오는 24일과 26일 각각 김 여사와 윤 전 대통령을 불러 조사할 예정이었으나, 윤 전 대통령 부부의 변호인단이 불출석 사유서를 특검팀에 제출하며 불발됐다. 윤 전 대통령은 재판 일정을, 김 여사는 건강 악화를 각각 불출석 사유로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의 윤 전 대통령 부부에 대한 소환 조사는 수사 기간 연장에 따라 이뤄질 수 있게 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특검팀의 수사 기간 연장 요청을 검토해 승인했다.


이는 특검법이 허용한 마지막 연장으로, 특검팀은 오는 12월28일까지 수사를 이어갈 수 있게 됐다. 지난 7월2일 수사를 개시한 특검팀은 앞서 90일의 기본 수사 기간을 소진한 후 30일씩 두 차례 기한을 늘렸고, 이 대통령 재가를 받아 최종적으로 3회 연장했다.


특검팀은 수사 기간 연장 사유로 윤 전 대통령 부부에 대한 조사 필요성을 들었다. 공소제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두 사람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하단 입장이다.


특검팀은 김 여사를 상대로 '반 클리프 앤 아펠 목걸이 수수 의혹' 등 여러 사건에 걸친 '금품수수 의혹'을 조사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의혹에 연루된 관계자들을 잇따라 소환 조사하는 등 혐의 다지기에 주력하고 있다.


특검팀은 이날도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의 로봇개 납품 사업 수주 과정에서 김 여사가 고가 명품 시계를 수수했단 의혹과 관련해 이영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이영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연합뉴스

특검팀은 이 전 장관을 상대로 김 여사가 연루된 것으로 의심 받는 경호처 로봇개 사업과 관련한 사실관계를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경호처는 윤 전 대통령이 당선된 후인 2022년 3월 말께 로봇개 수입업체인 고스트로보틱스테크놀로지가 주관한 비공개 시연회를 열었다. 이후 고스트로보틱스는 같은 해 5월 김 여사에 대한 금품 의혹이 제기된 서성빈 대표의 회사 드론돔과 총판계약을 맺었고, 경호처는 9월 수의 계약 형태로 드론돔에게 시범운영을 맡겼다.


이 시기 김 여사가 서 대표로부터 사업상 편의를 제공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시가 5000만여원 상당의 바쉐론 콘스탄틴 시계를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특검팀은 서 대표가 김 여사의 도움으로 시범운영 계약을 따낸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특검팀은 이날 서 대표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이는 세 번째 소환으로, 서 대표는 지난 8월과 이달 17일 특검팀에 출석 한 바 있다. 특검팀은 전날엔 김성훈 전 대통령실 경호처 차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경호처가 드론돔과 로봇개 시범운영 계약을 맺은 경위를 추궁하기도 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에 대해선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를 통한 공천개입 의혹 관련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와 여론조사 무상 수수 의혹 관련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등에 대해 조사할 방침이다.


윤 전 대통령은 그간 김건희 특검팀 소환에 단 한 차례도 응하지 않았다. 특검팀은 지난 8월 체포 영장을 발부 받아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강제구인을 시도했으나 윤 전 대통령이 완강히 거부하며 불발됐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황인욱 기자 (devenir@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