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산업 유니콘 발굴 본격화…혁신 창업대전 최종 경연 개최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입력 2025.11.24 12:00  수정 2025.11.24 12:00

기후부·수공 주관, 25일 최종 결선 열어

물보안 등 기술 가진 18개 팀 본선 진출

행사 포스터. ⓒ기후에너지환경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물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키울 ‘혁신형 고성장 기업(유니콘)’을 발굴하기 위해 25일 노보텔앰버서더호텔에서 ‘대한민국 물산업 혁신 창업대전 2025’ 최종 경연을 연다.


기후위기 심화로 물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전세계 물시장 규모는 2025년 1485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시장의 성장은 지능형 기반시설 투자 증가, 지속가능한 물순환 기술 수요 확대, 수자원 관리 기술 확산 등이 견인하고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물산업을 향후 10년을 이끌 신성장 분야로 보고 2020년부터 혁신 기술을 가진 새싹기업과 예비 창업자를 발굴하는 창업대전을 운영해왔다.


올해로 6회를 맞은 이번 대전은 8월 25일 공모를 시작으로 일반인 대상의 ‘아이디어 부문’과 창업기업 대상의 ‘사업화 부문’으로 나누어 진행됐다. 총 80개 팀이 참여해 서류·발표평가를 거쳐 18개 팀이 본선에 올랐다.


각 부문별 상위 4개 팀은 25일 전문가 심사위원과 국민평가단 52명 앞에서 최종 발표를 진행하며, 대상·최우수상·우수상이 선정된다.


사업화 부문 결선 기업들은 초순수와 탄소포집 등 글로벌 수요가 높은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최종 경연 기업은 ▲불소계고분자 대체 친환경 필터(워터트리네즈) ▲AI·입자공학 기반 초순수 순도 모니터링 시스템(케이나노) ▲저분자 유기물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알앤에스사이언스) ▲해수 기반 소듐 전해조 연계형 공기 중 탄소직접포집 기술(카본에너지) 등이다.


아이디어 부문 결선 팀들은 일상에서 발생하는 물문제와 환경부담을 함께 고려한 생활 밀착형 기술을 제시했다. 대표적으로 ▲해양 폐자원을 활용한 자원순환형 수질·수생태 복원 블록(송아영) ▲커피박 업사이클링 필터를 적용한 자연낙차형 하천 미세플라스틱 저감 기술(최종윤) ▲정수장 소형생물 제거 기술 사업화(이승후) ▲소형언어모델 기반 실시간 물보안 시스템(이상호) 등이 있다.


수상자에게는 총 1억 원의 상금과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상이 수여되며, 성장 사다리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케이-테스트베드와 연계한 실증 지원, 국내외 판로 개척을 위한 전시회 참여, 물산업 펀드 연계 투자유치 지원 등 사업화 중심의 지원을 일괄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에 제안된 기술과 아이디어는 국가 연구개발 사업과도 연계해 물분야 혁신을 촉진할 예정이다.


기후부는 지난 5년간 창업대전을 통해 73개 혁신 창업기업을 발굴했다. 이들 기업은 지난해까지 매출 962억 원, 투자유치 535억 원, 고용창출 464명을 기록하며 물산업 생태계의 핵심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김효정 기후부 물이용정책관은 “전세계 물시장이 꾸준히 커지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가진 창업기업을 적극적으로 키워야 할 시점”이라며 “앞으로도 유망 새싹기업을 발굴해 실제 사업으로 성장하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