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이나 요리를 할 때 수돗물 온수를 사용하지 말라는 경고가 나와 화제다.
최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조리 시 수돗물 온수를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했다. 온수는 노후된 보일러 관을 거쳐 나오기 때문에 냉수에 비해 중금속 오염 가능성이 더 크다는 이유에서다.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서울아리수본부 역시 "온수 배관은 애초 음용 목적이 아니다"라며 "배관 부식이 더 쉽게 일어나고, 가열 과정에서 다양한 금속 성분이 용출될 가능성이 있어 수질이 좋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준공 40년 된 아파트에서 온수와 냉수를 채취해 전기 자극을 이용해 납 검출 여부를 확인한 결과, 냉수 대비 온수에서 더 큰 반응 신호가 나타났고 납 성분도 2배 가량 더 많았다. 물론 기준치의 절반 수준이었으나, 장기간 노출 시 신장 기능 저하나 신경계 손상 등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조리 시에는 반드시 냉수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며, 냉수라도 장시간 사용하지 않았다면 약 30초 정도 물을 흘려보내 배관 속에 고여 있던 물과 불순물을 먼저 흘려보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