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MCP 기반 개방형 플랫폼 'PlayMCP'에 '도구함' 기능을 추가했다.ⓒ카카오
카카오는 지난 7월 선보인 MCP(Model Context Protocol) 기반 개방형 플랫폼 'PlayMPC'에 '도구함' 기능을 추가했다고 24일 밝혔다.
PlayMCP는 다양한 AI 모델이 외부 도구와 안전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MCP 기반의 개방형 플랫폼이다. MCP란 AI 모델이 외부 데이터나 도구와 소통하는 방식을 표준화한 통신 규약이다. 이용자가 여러 서비스를 오가지 않고 하나의 서비스 내에서 수요와 목적에 맞는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카카오는 국내 최초로 PlayMCP를 선보이며 에이전틱 AI 생태계 구축 및 확장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이번에 추가한 도구함은 PlayMCP에 등록된 여러 MCP 도구를 이용자가 직접 선택해 한곳에서 관리하고, 이를 챗지피티(ChatGPT)나 클로드(Claude) 같은 외부 AI 서비스에서도 카카오 계정 인증을 거쳐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도구함을 활용 시 AI 서비스 간 도구 연동 절차가 간소화된다. 이용자는 계정 인증 후 PlayMCP를 통해 자신이 선택한 MCP 도구를 AI 서비스에서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금 알려준 내용 카카오톡 나와의 채팅방에 보내줘", "오늘 내 일정 알려줘", "내가 받은 선물 목록 보여줘", "작년 오늘 들은 멜론 노래 다시 틀어줘" 등과 같이 요청 시 이를 수행한다.
이용자는 PlayMCP 사이트에 접속한 뒤 카카오 계정 로그인을 거쳐 원하는 MCP 도구를 도구함에 추가하면 된다. 이후 외부 서비스인 ChatGPT에서 개발자 모드를 선택한 뒤 맞춤형 MCP 서버 URL을 등록한 뒤 도구함을 인증하면 사용 가능하다. Claude에서는 설정 선택 후 커스텀 커넥터에 PlayMCP 도구함을 연결하면 사용할 수 있다.
카카오 계정 인증으로 모든 MCP 등록 도구를 호출할 수 있다는 점과, 사용자 카카오 데이터와 연동돼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카카오는 향후 도구함을 통해 카카오 서비스뿐 아니라 다양한 외부 파트너들의 MCP 도구까지 연결해 PlayMCP를 국내외 AI 생태계의 허브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개발자와 이용자 모두가 더 쉽게 AI 기능을 확장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유용하 카카오 AI에이전트플랫폼 성과리더는 "PlayMCP에 추가된 도구함 기능은 AI가 단순한 대화 상대를 넘어 사용자의 실제 일상을 이해하고 실행하는 '일상 AI'로 진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개발자와 이용자가 에이전틱 AI 경험을 보다 확장해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플랫폼을 고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