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장기할부에 밀린 캐피털사, 규제 완화 논의로 반격 시동
통신판매·렌털 규제 손질…‘생산금융’ 흐름과 업권 재편 맞물려
캐피털업권의 ‘숙원 과제’였던 통신판매업 제약과 렌탈 취급 규제가 사실상 완화 수순에 들어가며 자동차금융 시장이 대대적인 변화를 맞고 있다.ⓒ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캐피털업권의 ‘숙원 과제’였던 통신판매업 제약과 렌탈 취급 규제가 사실상 완화 수순에 들어가며 자동차금융 시장이 대대적인 변화를 맞고 있다.
금융위원장이 규제 개선 의지를 직접 밝히면서 캐피털사는 비대면 자동차금융·렌탈·구독형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모빌리티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는 분위기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는 캐피털사에 적용돼 온 통신판매 제한을 풀고, 렌털 자산 규제도 손질하는 방안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지난 20일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여신전문금융업계 CEO들과의 간담회에서 캐피털사의 통신판매업 허용 등 규제 완화 가능성을 시사하며 변화의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규제가 현실화될 경우 캐피털사의 사업 모델은 기존 ‘오프라인 중심 자동차금융’을 넘어 모빌리티 기반 원스톱 플랫폼으로 재편될 전망이다.
지금까지 캐피털사는 금융상품 자체는 판매할 수 있었지만 차량용품·정비·세차·중고차 진단·구독형 서비스 등 부가 서비스를 앱·웹에서 직접 연결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비대면 경로가 열리면 금융과 관리·운행 서비스를 한 플랫폼에서 제공할 수 있게 되고, 고객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수익 모델 확보도 가능해진다.
이 같은 규제 개편 필요성은 자동차금융 시장의 구조 변화에서 비롯된다. 전체 자동차할부금융 시장은 2019년 34조원에서 지난해 43조원으로 커졌지만, 성장의 과실은 상당 부분 카드사가 가져갔다.
카드 장기할부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피하면서 금리도 1~2%포인트 낮아 소비자 쏠림이 빠르게 이뤄졌기 때문이다.
렌탈 규제 완화 역시 캐피털사의 체질 개선과 직결되는 변화다. 현재는 렌탈 자산이 리스 자산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묶여 있어 성장성이 큰 전기차·가전·모빌리티 기반 구독 모델 진출에 제약이 컸다.
전기차 보급 확산으로 월 단위 구독형 금융 수요가 늘고 있음에도 제도적 장벽 때문에 확장성이 제한됐다는 점도 업계의 오랜 고민이었다. 규제가 풀리면 전기차 구독, 장기 렌탈 패키지, 친환경차 특화 금융 등 그동안 설계 단계에서 멈췄던 상품들이 속속 출시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업계가 가장 강하게 요구해 온 자동차보험 판매 허용은 이번 논의에서 제외됐다. 캐피털사는 여신업권 가운데 유일하게 자동차보험 판매가 금지돼 있어 금융·렌탈·정비를 아우르는 완성형 모빌리티 패키지를 구성하는 데 일부 제약이 남는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제기된다.
이번 규제 정비 논의는 업권 간 경쟁 구도에도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통신판매업 허용은 캐피털사가 카드사와 공정경쟁 기반을 다시 갖추는 효과가 있고, 렌탈 규제 완화는 사업 중심축을 ‘대출업’에서 모빌리티 플랫폼 사업자로 이동시키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여기에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생산적 금융’ 정책 방향까지 더해지면서 제조·정비·모빌리티 기업과의 생태계 연계도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조치는 캐피털업권의 사업 지형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며 “남아 있는 규제까지 순차적으로 정비되면 모빌리티 금융 시장이 완전히 새 판을 맞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