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 중심 ‘AI 데이터플래닛’ 성과 공유
정부·지자체·학계와 포용적 일자리 논의
안성시 중앙도서관에서 진행된 ‘2025 이주민 AI 어노테이터 미래 심포지엄’ 현장 사진.ⓒ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이주민 대상 AI 직무 교육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협력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회사는 지난 25일 경기도 안성시 중앙도서관에서 ‘2025 이주민 AI 어노테이터 미래 심포지엄’을 진행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SK하이닉스가 정부·지자체·학계·시민사회와 협력해 추진 중인 ‘이주민 AI 어노테이터 양성 사업’의 결과를 돌아보고, 포용적 사회공헌 모델을 어떻게 확산할지 논의하기 위해 기획됐다. AI 어노테이터는 인공지능이 학습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분류·정제하고 라벨을 부여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직군이다.
SK하이닉스는 해당 사업을 통해 이주민에게 ▲AI 데이터 어노테이션 직무 교육 ▲한국어 교육을 제공해 실무적 역량을 갖춘 디지털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왔다. 교육을 마친 수료자들은 데이터 가공 프로젝트 등에 참여하며 경험을 쌓았고, 현재 수료자의 84.6%가 AI·디지털 영역에서 활동 중이다.
안성시는 SK하이닉스 용인 캠퍼스의 핵심 연계 지역으로, 회사는 ‘AI 데이터플래닛’ 사업을 중심으로 지역 내 이주민의 안정적 소득 기반 마련에 힘쓰고 있다. 안성시는 올해 기준 전체 인구의 10%가 이주민으로 구성돼 있어 디지털 일자리 창출 모델의 도입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심포지엄에는 정상록 SK하이닉스 부사장(CR 담당)과 김보라 안성시장, 안정열 안성시의회 의장, 법무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학계와 연구기관, 시민단체 전문가들도 함께해 이주민의 지역사회 정착, 디지털 직무 참여 확대 등 다양한 주제를 논의했다.
SK하이닉스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정부·지자체·교육기관과의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회사 측은 “AI 데이터플래닛을 지속가능한 CSR 모델로 성장 시켜 이주민의 디지털 일자리 참여를 넓히고 지역 사회와의 상생 기반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