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새벽 1시 13분 우주로 발사
목표 궤도 600㎞ 안착…비행 검증
1시 55분 남극 세종기지 첫 교신
신뢰성 제고·독자적 수송 역량 재확인
27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누리호가 불꽃을 뿜으며 이륙하고 있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4차 발사에 성공하며 민간 주도 ‘뉴스페이스’ 시대를 본격적으로 개막했다. 누리호의 비행이 성공을 거두면서 향후 민간 스스로 발사체를 쏘아 올려 다양한 위성을 우주로 보낼 수 있게 됐다.
목표 궤도 600㎞ 성공 안착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국내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독자 개발한 누리호의 4차 발사가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누리호는 새벽 1시 13분에 발사됐다. 항우연은 발사체 비행정보를 담고 있는 원격수신정보(텔레메트리)를 초기 분석한 결과, 누리호가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위성을 목표 궤도인 600㎞에 성공적으로 분리·안착시켰음을 확인했다.
누리호는 이날 새벽 1시 13분에 이륙 후 122.3초쯤 고도 약 65.7㎞에서 1단 분리와 2단 점화를 시작했다. 이후 230.2초쯤 고도 약 211.1㎞에서 페어링 분리, 263.1초쯤 고도 약 263.1㎞에서 2단 분리와 3단 점화까지 진행 후 741.2초쯤 고도 600.5㎞에 도달했다.
이후 자세 안정화 과정을 거쳐 790.9초쯤에 고도 601.3㎞에서 차세대중형위성 3호를 분리했다. 813.6초쯤부터 914.4초쯤까지 12기의 큐브위성을 정해진 순서대로 모두 분리함으로써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누리호의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큐브위성 분리시의 고도는 601.3㎞다. 누리호 성공 기준인 600㎞ 기준 오차범위 35㎞ 이내 범위를 만족했다.
누리호는 1시 55분쯤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 첫 교신을 통해 태양전지판의 전개 등 위성 상태가 정상임을 확인했다. 부탑재위성 12기는 위성별 교신 수신 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상국과 교신하며 이를 통해 위성 상태를 확인할 예정이다.
한화에어로, 제작…민간주도 우주개발 역량 다져
전남 고흥에 위치한 나로우주센터 조립동에서 연구진들이 누리호 4차 발사 총조립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우주항공청
우주청과 항우연은 누리호 2~3차 발사 성공에 이어 4차 발사까지 연속 성공함으로써 누리호의 신뢰성이 한층 향상됐을 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 국가 우주개발 역량을 갖추게 됐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누리호 제작은 민간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첫 주관해 상징적 의미가 크다. 체계종합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발사체의 제작·조립을 총괄하고, 항우연 주관의 발사 운용에도 참여했다.
그동안 항우연이 누리호 제작을 주관했던 것과 달리 민간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처음으로 누리호 제작을 총괄하고, 항우연은 4차 발사 운용을 주관한 것이다.
윤영빈 우주청장은 “국내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독자 개발한 누리호 4차 발사가 국민의 관심과 성원 속에 성공했다”며 “발사체 본연의 역할인 위성 발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관련 기술을 확보했다. 체계종합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제작 총괄을 주관하고, 발사 운용에 참여해 역할을 완수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누리호는 기술적인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오는 2027년까지 2차례 비행을 더 수행하게 된다. 누리호 개발의 경험과 기술을 토대로 보다 성능이 향상된 차세대발사체를 개발해 우주개발 역량을 더욱 높여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