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함경남도 함흥시에 있는 신흥기계공장을 현지지도했다고 노동신문이 지난 6월 30일 전했다. ⓒ연합뉴스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의장성명에 북한의 주장이 삭제되고, ‘북한의 비핵화’를 촉구하는 내용이 담기자 북한이 국제공조에 의해 ‘코너’에 몰린 형국이다. 때문에 북한이 이 같은 상황을 어떻게 타개해 나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당초 ARF 의장성명 초안에는 ‘북한에 대한 적대시 정책을 중단하라’는 북한의 입장이 포함돼 있었지만, 최종적으로 채택된 의장성명에는 이 같은 문구가 빠져있었다.
특히 북핵 문제에 있어서는 ARF 참가국 27개국 중 북한을 제외한 26개의 나라가 ‘북한의 비핵화’를 촉구하는 입장을 보여 북한과 ‘1 대 26’ 구도를 형성했다.
이같이 북한에 대한 국제공조가 강화되는 추세에 일각에선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직접 외교무대에 나서서 국제적인 고립상황을 타개할 것이라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김정은이 직접 시진핑 중국 주석과 만나 관계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에 대한 ‘물타기’를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오는 11일 북한과 중국은 북중 우호조약 체결 52주년도 앞두고 있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든 접촉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난달 18일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의 방중에 이어 2일 북한이 다시 김성남 노동당 국제부 부부장을 중국에 보낸 것도 ‘김정은 방중추진’을 위한 것이라는 관측이다.
김성남은 미중-한중 정상회담을 앞둔 지난 5월, 최룡해 북한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의 중국 방문도 수행한 바 있다. 당시 최룡해의 방중도 미중·한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김정은의 중국 방문을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관측이 흘러나왔다.
지난 6월 19일 오전 북한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을 태운 차량이 베이징의 북한 대사관을 떠나고 있다. ⓒ연합뉴스
'코너 몰린' 김정은, 중국-러시아 '돌파구' 찾아나서…"비핵화 없인 가능성 낮아"
오는 4일 러시아 방문을 앞두고 있는 김계관의 행보를 두고도 최근 관계가 불편한 중국 보다 러시아의 지지를 먼저 확보하려는 움직임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러시아와의 접촉이 순조로울 경우 김정은의 러시아 방문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김정은의 방중-방러의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한-미-일이 북한의 비핵화 없이 대화는 진행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고, 중국 또한 이와 같은 입장을 내비치고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 또한 6자 회담국들의 북한 비핵화 입장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히 중국이 최근 한미-미중 정상회담 등을 통해 ‘북핵 불용’이라는 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북한의 태도 변화가 없다면 김정은과 직접 대화에 나설 이유가 없다는 관측이다.
이와 관련, 이태환 세종연구소 중국연구센터장은 “물론 김정은은 중국을 방문하고 싶겠지만, 현재 중국이 북한과 정상회담을 추진하고 있다는 조짐이 포착되지 않고 있다”면서 “중국으로서는 북한이 비핵화 조치 등의 ‘선물’을 들고 오지 않으면 대화에 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센터장은 이어 “북한이 중국에 최룡해, 김계관, 김성남 등을 연이어 보낸 것은 중국이 아직도 북한에게 흡족할만한 ‘선물’을 받지 못했다는 것을 방증한다”고 덧붙였다.
박영호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지난해에는 장성택이, 지난 5월에는 최룡해가 중국을 방문했지만 중국의 반응은 차가웠다”면서 “북한의 2, 3인자라고 할 수 있는 인물들의 방중효과가 없었기 때문에 김정은이 중국을 방문할 여건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김정은의 방중-방러가 김정은의 ‘권력 부실’ 때문에 불가능한 상황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정은의 권력이 자리를 비울 수 있을 정도까지 안정화돼 있지 않기 때문에 대외적인 외교에 힘쓰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우선 김정은은 국내에서 자신의 권력을 안정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면서 “국내적으로 자신의 권력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자신 있게 외교활동을 벌일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