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은 6일 28사단 윤모 일병 사망사건과 관련,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도 비판받을 소지가 있다”며 일벌백계의 대상이라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이날 오전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해 “김 실장의 국방장관 시절에 ‘부대 내에서 사고가 나도 육군 참모총장이나 국방장관까지는 보고하지 말고 알아서 처리해라’는 지시가 있었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이런 지시를 내린 게 사고가 생겼을 때도 우리끼리 알아서 처리하면 되기 때문에 책임질 필요가 없다는 분위기를 확산시키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한 것 같다”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당시 김 실장이 그런 지시를 내린 것은 사고처리 때문에 훈련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이 있었던 것 같다”며 “그렇다고 훈련이 더 잘됐다고 보기도 어렵고, 오히려 사고대처능력을 떨어트렸기 때문에 김 실장도 비판받을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하 의원은 김 실장이 해당 사건에 대해 침묵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해명해야 된다”면서 “본인이 왜 당시에 그런 지시를 내렸는지, 사고가 나더라도 보고를 안 해도 된다고 한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명하고 국민들에게 이해를 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가해자와 방조자를 일벌백계하겠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방침과 관련해서는 “청와대에서 진상조사가 중요하다고 했고, 김 실장이 어떤 지시를 했었는가를 조사해야 할 것 같다”며 “조사 결과 김 실장이 그런 지시를 했었다고 판단되면 청와대에서 똑같은 조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하 의원은 ‘유병언 부실 수사’의 책임을 지고 이성한 경찰청장이 사의를 표명한 것과 달리 김진태 검찰총장은 사퇴하지 않은 것에 대해 “부자연스럽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사소가 나면 윗선 인사가 무한책임 형태로 다 물러나는 경향이 있는데 반성해야 할 부분”이라면서도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명확한 부분에 대해 책임을 지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사퇴를 하지 않으려면 둘 다 하지 말아야지, 경찰청장은 (사퇴를) 하고, 검찰총장은 (사퇴를) 하지 않는 것은 뭔가 부자연스럽다”고 꼬집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