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은 20일 차기 전당대회에서 계파갈등이 빚어질 가능성에 대해 “지금까지 양상을 보면 전혀 갈등이 일어나지 않고 있는 것 같은데, 그 계파라고 하는 것을 활용해서 이득을 취하려는 것이 더 문제”라고 지적했다.
정 위원은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해 이 같이 말하며 “정말 당에서 책임 있는 사람들은 선당후사의 자세로 임해야 하고, 어떤 계파나 이런 것에 대해서는 정말 후순위로 돌려야 되는 기본적인 자세가 절대 필요하다고 보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은 또 어느 계파에 속하느냐는 질문에 “나는 새정치민주연합계이다”라고 답했다.
그는 “지금 친노(친노무현)니 비노(비노무현)니 자꾸 편 가르기를 하면서 그것을 활용해서 정치적인 이득을 취하려고 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건 아주 잘못된 것”이라며 “결국은 당원들로부터, 국민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 위원은 이어 “자꾸 계파로 하고 편 가르기 하면 안 된다”면서 “또 당의 책임 있는 역할을 하려는 분들도 이제는 노무현도 뛰어넘고 김대중도 뛰어넘어서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스타일, 그리고 자기 나름대로의 노력으로 당을 이끌어 갈 준비를 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정 위원은 차기 전당대회에서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따로 선출하는 현 방식이 유지될 경우 계파간 합종연횡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 “합종연횡은 항상 있을 수 있는 것인데, 계파라는 것이 사실은 밖에서는 자꾸 얘기하지만 우리 당의 경우에는 딱 구분 지을 수 있는 경계도 불분명하다”고 반박했다.
그는 “국민들이 걱정하니까 계파 청산하는 데에는 전적으로 동의를 하지만 룰 때문에 이러니저러니 하기보다는, 내가 보기에는 후보의 리더십이라든지 업적이라든지 어떤 비전과 정책을 가지고 있는지를 가지고 경쟁을 해야 된다고 생각을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당 재건이나 총선 준비를 제대로 할 수 있는 적임자를 구할 때이기 때문에, 꼭 룰이나 계파보다는 지금 당이 처해있는 이 절체절명의 과제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리더십을 찾아야 하는 때여서 나는 계파 문제나 이런 것이 크게 중요하다고 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 위원은 전당대회 출마 여부에 대해 “지금 선당후사의 관점에서 깊이 고민하고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입장표명 시점에 대해서는 “이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고심해서 좋은 결정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