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위, 시작부터 민정수석 출석 두고 '파행'
<운영위⓵>여 "김기춘 실장으로도 충분" 야 "민정수석 불출석하면 운영위 무의미"
국회 운영위원회가 9일 이른바 ‘비선실세 국정개입’ 사건과 관련해 전체회의를 열었지만 김영한 민정수석의 출석 여부를 두고 시작부터 파행을 겪었다. 여야 위원들이 김 민정수석의 출석 의무에 대해 공방을 벌이면서 개회한지 1시간만에 여야 간사간 협의차 정회된 것이다.
앞서 김 수석은 이날 불출석 사유서를 통해 “대통령을 보좌하는 참모로서 대통령비서실장이 당일 운영위원회 참석으로 부재중이므로,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 대비할 신속 필요가 있다”면서 “부득이 참석할 수 없음을 양해해달라”는 입장을 밝히고 운영위에 출석하지 않았다.
이에 진성준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의사진행발언을 신청하고 “문건유출 사건 자체가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실에서 일어난 일인데 정작 민정수석은 출석하지 않았다. 이래서야 현안에 대한 국민적 의혹을 제대로 짚어낼 수 있겠나”라며 “위원장이 적절하게 조치해달라”고 요청했다.
같은 당 박범계 의원도 “김영한 수석과 안봉근 비서관 정도는 반드시 출석을 해야 오늘 국회 운영위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고, 야당 간사인 안규백 새정치연합 의원 역시 “불출석 사유는 하등의 이유가 안된다. 잘못이 없다면 당당히 나와 밝히면 될 일 아닌가. 출석하지 않으면 이후 국회 모든 일정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청와대 책임”이라고 날을 세웠다.
반면 김도읍 새누리당 의원은 “문건유출 의혹에 대해 사실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지 민정수석이 나오느냐 안나오느냐는 사후 문제다. 게다가 청와대 비서실을 총괄해 답변할 수 있는 김기춘 비서실장이 이미 나와있지 않느냐”며 “김영한 수석은 문건유출과 직접적인 연관도 없다. 김기춘 실장으로도 오늘 질의가 충분히 진행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이어 “지난 25년간 민정수석이 국회에 출석한 것 노무현정부 시절 문재인 당시 민정수석과 전해철 당시 민정수석이 각 한번씩 국회에 나온 것 외에는 한번도 없다”며 “직접적인 관계도 없는 민정수석에 대해 야당이 지금 꼭 나와야한다고 고집하는 것은 국회 관행을 깨자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박완주 새정치연합 의원이 국민의정부 당시 신광옥 민정수석이 1번, 참여정부 때 문재인·전해철 민정수석이 각 2번씩 국회에 출석했다며 “거짓말 말라”고 반박했고, 김 의원은 다시 “거짓말이라니 인신모욕하지 말라. 그리고 '농단'이라는 말도 적절치 않다”고 주장하면서 여야 의원들 간 “물타기하지 말고 청와대 감싸지 말라”, “노무현 정부때 이야기만 나오면 왜 들끓느냐”는 등의 고성이 오갔다.
한편 이날 회의는 11시20분경 속개됐지만, 여야 간사가 여전히 접점을 찾지 못한 데다, 주로 야당 의원들의 의사진행발언이 계속되면서 회의 시작 1시간30분이 넘도록 본 질의로 들어가지 못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