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하태경 "야권단일화는 북한 대남공작의 핵심 사업"


입력 2015.01.15 17:48 수정 2015.01.15 17:54        조성완 기자

"새정치련, 야권연대에 대한 대국민 사과해야"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자료 사진)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은 15일 지난 2010년 지방선거 당시 전국적인 범위의 야권연대로 구축된 지방공동정부가 주요시설 타격 준비 등 종북세력이 무장투쟁을 위한 교두보를 구축하는 데 활용됐다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지난 2011년 검거된 지하 간첩단 조직인 ‘왕재산’에 대한 수사·재판 자료인 ‘왕재산 지령문’과 ‘대북 보고문’ 등을 분석해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2010년 지방선거 때부터 시도된 야권 단일화는 북한이 2000년대 초반부터 대남공작의 일환으로 꾸준히 추진해왔던 핵심 사업이었다”며 “2010년 6·2지방선거 당시 전국적 범위의 야권 연대를 통해 구성된 지방공동정부가 무장 투쟁의 교두보를 구축하는데 이용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날 하 의원이 공개한 2011년 1월 지령문에는 주요 시설 타격 준비에 최근 대법원에 의해 해산된 통합진보당의 전신인 민주노동당 소속 구청장과 시의회, 구의회 의원을 활용하라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

지령문은 “인천지역에서 남동구와 남구, 동구를 2014년까지 전략적 거점으로 꾸리기 위한 목표를 내세우고 활동하도록 한다”. “결정적 시기에 인천시 남동구, 남구, 동구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대상들을 타격할 수 있는 준비사업을 짜고 들도록 한다” 등 세부적인 계획을 포함하고 있다.

지령문은 또 행정시설과 방송국, 경찰서뿐만 아니라 군부대와 군수물자를 생산하는 공장 등을 장악해야 한 중요 시설로 분류하고, 한화 인천공장, 인천 연유창, 제17보병사단 공병대대, 제9공수특수여단, 인천시청, 남동방송국, 서해방송국, 인천항 등 구체적인 시설을 지목했다.

하 의원은 “한화 인천공장은 포탄과 총탄에 들어가는 화약을 생산하는 곳으로 무기 취득이 목적인 것으로 보인다”면서 “인천 연유창은 저장용량이 200만 배럴이 넘는 대형 저유소로, 이것이 파괴되면 수도권 교통이 마비되고 발전 시설 일부도 가동을 멈추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육군 제17보병사단은 서해안과 한강을 경계하는 부대이며 제9공수특전여단도 수도권을 방위하는 부대로, 이곳을 장악하면 서울 시내까지 빠른 시간 내에 진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하 의원은 “북한은 중요 시설을 점거하기 위해 야권연대로 당선된 주요 인물들을 포섭하는 방법을 사용하라고 지시했다”며 “북한이 야권연대를 위한 정치권 공작에 10년 이상 집요하게 매달려 왔다”고 주장했다.

지난 2011년 8월 검찰이 발표한 왕재산 간첩단 수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 225국은 2002년 3월 왕재산 총책 김덕용에게 여야 상층인사를 포섭할 것을 지시했고, 이에 따라 제16대 대통령 선거 시 노무현 후보 선대위원장 비서실 정무부국장 등으로 활동했던 이 모씨가 적임자로 선택됐다.

이후 이 씨는 2004년 5월부터 A당 대권주자의 정책기획 자문팀 위원으로 정치·정책자문 역할을 해오다 2006년 6월 20일에는 국회의장 정무비서관으로 들어가 2008년 3월까지 근무했다.

이 씨는 특히 2008년 2월에는 제18대 국회의원 출마를 위해 민주당 지역구인 남양주 을에 공천을 신청했지만 탈락했다. 지난 2011년 4·27재보선 이후에는 ‘재보선 이후 정치상황’을 대북 보고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보였다.

하 의원은 “새정치민주연합은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을 비난한 것과 야권연대를 한 것에 대해 대국민 사과를 해야 한다”며 “새정치연합은 무장투쟁의 교두보 구축과 종북 세력의 국회 입성에 기여한 야권 연대에 대한 공식적인 반성과 함께 균형 잡힌 대북관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하 의원은 통합진보당 창당 및 야권연대 배후조종에 대한 북한의 사과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발의할 예정이다.

조성완 기자 (csw44@naver.com)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성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