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국무총리로 내정된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23일 “대통령에게 직언하는 총리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대통령에게 쓴소리와 직언을 하는 그런 총리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청와대의 총리 인선 발표 직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어제 저녁 늦게 연락을 받았고, 많은 생각 끝에 대통령을 잘 보필해서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 이 자리가 내 공직에 마지막 자리라는 그런 각오와 함께 수락을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기본적으로 내 인식은 우리나라 경제가 대단히 어렵다. 장기적 경기침체로 국민들이 대단히 고통스러운 상황”이라며 “내가 당 회의에서도 누누이 강조했지만 정치권만 이 심각한 상황을 모르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통령은 고통 받는 국민들을 위해서, 경제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 온몸을 던져 여기에 힘쓰고 있다”면서 “내가 청문회를 통과해서 총리가 정식으로 된다면 경제살리기에 온몸을 바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것이 이 시대가 요구하는, 총리에 요구하는 그런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며 “그래서 온몸을 던져 국민이 고통 받고 있는 경제상황을 해결하는 데 힘써야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소통’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소통의 중요한 대상은 야당”이라며 “야당을 이기려하지 않는 정부, 야당을 이해하는 정부. 야당을 이기지 않는 내각, 총괄하는 총리가 이 시점에서 필요하다. 야당과 소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어 “대통령에게 직언하는 총리다. 대통령에게 직언하는 총리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대통령에게 쓴소리와 직언을 하는 그런 총리가 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함께 이 원내대표는 “국가기강이 지금 완전히 무너졌다고 생각한다”며 최근 ‘청와대 문건 유출’과 ‘김무성 수첩 파문’ 등으로 무너진 공직기강을 바로 세우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무너진 국가기강을 어떻게 잡는가에 따라 경제살리기 등 대통령의 개혁과제가 동력을 받을 수 있다”며 “경제살리기 등 각종 개혁과제를 대통령이 내놓고 있지만 결국 그것은 공직자가 앞장서야 하는데 공직기강이 바로 서지 않고는 도저히 해결할 수 없다. 공직기강을 확실히 잡겠다”고 주장했다.
새정치련 “책임총리로서의 역할 충분히 할 것으로 생각한다”
한편, 기자회견을 끝낸 이 원내대표는 곧장 새정치민주연합의 원내대표실을 방문해 안규백 원내수석부대표와 백재현 정책위의장과 만난 자리에서 “총리직을 맡게 된다면 오히려 더 자주 야당과 함께 협의하고 상의해서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에 백 정책위의장은 “정말 야당을 배려해줘서 큰일과 할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여야가 협치가 가능하고 협의하는 정치의 틀을 그렇게 해줄 것이라고 믿는다”고 축하의 말은 전했다.
안 원내수석부대표도 “지난 연말 정국에서 소통으로 모든 문제를 풀었듯이 앞으로 얽힌 정국도 야당을 이해하고 국민을 보듬고 하는 소통정치가 계속 이어지길 소망한다”면서 “동시에 책임총리로서의 역할도 충분히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