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원 새누리당 의원이 9월 30일 국회에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등 총선 공천룰과 선거구 획정 논의를 위해 열린 의원총회를 마친 뒤 나오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김재원 새누리당 의원은 15일 "상향식 공천제도를 포기하지 않는 한 전략공천이나 험지 출마, 중진 용퇴는 가능하지 않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PBC 라디오'에 출연해 "상향식 공천은 이런 한계점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채택하는 제도"라며 이같이 말했다.
청와대 정무특보를 지내며 '친박 핵심'으로 꼽히는 김 의원은 "상향식 공천은 결국 모든 우리 당의 후보자를 유권자들이 선택을 하는 그런 방식"이라며 "그것(전략공천)을 아무리 주장해도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방안을 계속 주장하는 것은 이 단계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략공천이라는 제도는 없어진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그런 방식은 당헌당규를 개정하지 않는 한 가능하지 않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전략공천과 우선 추천지역 선정은 전혀 다른 개념"이라고 밝혔다. 현재 새누리당 당헌당규에 나와 있는 우선 추천지역 적용 범위와 관련해 친박계는 전국에 적용을 시켜야 한다고 하는 반면 비박계는 서울 강남과 TK 지역 등 새누리당 강세 지역은 빼고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 의원은 "우선 추천지역은 우리 당 후보자들이 너무 열세라 경선을 할 필요가 없는 지역이나 여성 또는 장애인 등에게 특혜를 주기 위해서 특별히 선정하는 방식"이라며 "과거에 전략공천은 후보자를 선정해서 그 후보자를 특정 지역으로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것"이라고 강조했다.
친박계가 공공연히 전략공천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친박 핵심' 김 의원의 이같은 발언은 눈에 띈다.
최근 당 지도부에서 합의한 결선투표제 도입에 대해선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후보자들이 얻은 득표가 과반수에 미달할 때는 1위, 2위 득표자를 대상으로 해서 다시 투표를 해서 50% 이상 과반수를 얻는 후보자에게 승리하도록 하는 제도"라며 "그런 방식으로 채택을 해야 한다. 다른 방식으로 운영한다는 것은 결선투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는 김태호 최고위원 등 친박계가 주장하고 있는 맥락과 함께 한다.
김 의원은 안철수 의원의 탈당으로 인해 야당의 분열이 현실화되는 것과 관련해 "야당은 항상 선거 기획의 한 방법으로 분열과 통합을 반복해왔다"며 "새누리당은 단순히 보수 정당에만 머물 것이 아니라 중도 계층까지 잡기 위해 좀 더 혁신하고 새로운 지지층을 확보하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그는 선거구 획정의 지연이 정치 신인에게 불리함을 언급하며 "선거구 획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예비후보 등록을 하게 해 결국은 현역 국회의원이 아닌 분들에 대해서 상당한 불이익을 감수하도록 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을 만든 국회는 두말 할 나위 없이 상당한 책임이 있다. 입법 비상사태"라고 규명했다.
그러면서 "여야 간에 합의가 되지 않고 궁극적으로 선거구가 사라져버리는 일종의 헌정 중단상태가 벌어진다면 남는 방법은 국회의장의 직권상정 외에는 아무런 수단이 없다"면서도 "지금 상태에서는 직권상정 이야기를 하기보다는 야당과 기존에 여야 합의한 사안에 대해서 이행을 하도록 노력하고 또 여야 합의를 이뤄가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