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서울시가 발간한 '2015 서울시 성인지 통계'에 따르면 서울시민 중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중복)은 여성 61%, 남성 64.4%로 나타났다.
노후 준비를 하는 방법은 여성의 경우 보험이 66.5%로 가장 많았고 은행저축 56.1%, 공공기관 연금 47.1% 순이었다. 남성은 공공기관 연금이 67.6%로 가장 많았고 보험 65.6%, 은행 저축 53.9% 순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10월 기준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72.4%, 고용률 69.8%, 여성은 경제활동참가율 52.9%, 고용율 51.0%였다.
노후생활비 마련 방법은 60세이상 여성의 56.2%, 남성의 76.5%가 본인과 배우자가 부담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은퇴 후 희망소득에 대해서는 여성의 39.3%, 남성의 42.9%가 200만~300만원 미만의 소득을 원한다고 가장 많이 답했다. 여성의 29.3%, 남성의 24.5%가 100만~200만원 미만 소득, 여성의 15.7%, 남성의 19.8%가 300만~400만원 미만 소득을 원한다고 답했다.
서울 남녀시민의 실제 은퇴 희망연령은 65~69세로 나타났다. 은퇴 예상시기에 대해 65~69세(여성 45.4%·남성 45.5%)를 가장 많이 선호했고, 이어 60~64세(여성 25.1%·남성 23.5%), 70~74세(여성 16.1%·남성 21.3%)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