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파병 북한군 전투 동향 無
종전 협상 드라이브 거는 미국
'선제 조치'로 북한군 철수 요구?
지난달 중순부터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종적을 감춘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관련 배경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과 관련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취임 즉시 우크라이나전 종전을 이끌겠다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측이 선제적 조치로 요구했던 '북한군 철수'가 받아들여졌다는 설명이다.
美특사, 우크라전 종전 방안
우방국에 설명할 예정
美·러 '물밑 접촉'도 진행중
7일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인 키스 켈로그는 오는 14~16일 개최되는 뮌헨안보회의에 참석해 우크라전 종전 방안을 우방국에 설명할 전망이다.
켈로그 특사는 소셜미디어 계정에 "트럼프 행정부의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로서 우크라이나에서 피비린내 나는 전쟁을 종식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목표에 관해 이야기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적었다.
미국 측은 종전 협상을 위해 러시아 측과도 접촉을 이어가는 상황으로 파악됐다.
레오니트 슬루츠키 러시아 하원(국가두마) 국제문제위원장은 러시아·미국 간 정상회담이 준비 중이라며 이르면 이달 중 개최될 수 있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다.
그는 "비밀을 누설하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발전된 단계"라며 "추측하지 말고 지도자들이 유능하고 포괄적으로 준비할 기회를 주자. 하지만 곧 (회담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미국이 정책을 공식화해야 한다"며 "우리는 그들의 구체적 조치와 행동에 따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종전 관련 논의가 부상하는 가운데 일각에선 최근 북한군 동향이 협상 국면과 연관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비판적인 텔레그램 채널 '제너럴SVR'은 미국과 러시아가 예비 접촉을 진행하며 북한군 철수를 논의했다고 전했다. 미국 측이 러시아 쿠르스크를 포함한 모든 전선에서 50㎞ 밖까지 북한군 병력을 완전 철수시킬 것을 요구했고, 러시아 및 북한 측이 이를 수용했다는 설명이다.
국가정보원은 지난 4일 "1월 중순부터 러 쿠르스크 지역에 파병된 북한군이 전투에 참여하는 동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사상자 다수 발생이 이유의 하나일 것으로 보이나 정확한 사항은 계속 파악 중"이라고 했었다.
다음달 중순 한미 연합훈련 겨냥해
'초강경 대응' 구체화할 가능성
우리 정부는 최근까지 북한군 추가 파병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워왔다. 실제 북한 내부에선 추가 파병 관련 준비 작업이 일부 진행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설 연휴를 앞두고 북한 동향을 전하며 "다수 사상자 및 포로 발생에 따른 후속조치와 추가 파병 준비를 가속화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힌 바 있기도 하다.
종전 협상이 지지부진 상황에서 북한의 추가 파병 여부가 주목됐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본격적인 관여 의지를 피력함에 따라 한반도 정세도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특히 협상 과정에서 소모전 중단 등의 조치가 이뤄질 경우, 러시아의 북한 의존도 역시 낮아질 거란 관측이다. 러시아 지원에 초점을 맞춰 온 북한 역시 '무게중심'을 손 볼 필요가 생기는 셈이다.
무엇보다 내달 중순 대규모 한미 연합훈련이 예정돼 있는 만큼, 예고했던 '최강경 대미 대응전략'을 구체화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지난달 말 발표한 담화에서 연초 진행된 한미 연합훈련을 일일이 열거하며 "조선반도(한반도)와 지역의 안전 환경이 날로 위태해지고 있는 근원은 다름 아닌 군사동맹체제의 부단한 팽창과 각종 합동군사연습의 강행을 통한 힘의 우위를 추구하고 있는 미국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권과 안전 이익을 거부하는 이상, 미국과는 철두철미 초강경으로 대응해야 하고, 이것만이 미국을 상대하는 데서 최상의 선택"이라고도 했다.
특히 "조선반도 지역의 긴장 격화를 가증시키는 미한의 군사적 도발 책동을 엄정 주시하고 있다"며 "이러한 행위에는 반사적인 대응이 따르게 된다는 것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밝혔다.